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3800

[2017기출]부동산학개론 16. 부동산 운영수지분석 문제. 부동산 운영수지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능 총소득은 단위면적당 추정 임대료에 임대면적을 곱하여 구한 소득이다. ② 유효 총소득은 가능 총소득에서 공실 손실 상당액과 불량 부채액(충당금)을 차감하고 기타 수입을 더하여 구한 소득이다. ③ 순 영업소득은 유효 총소득에 각종 영업 외 수입을 더한 소득으로 부동산 운영을 통해 순수하게 귀속되는 영업소득이다. ④ 세전 현금흐름은 순 영업소득에서 부채 서비스액을 차감한 소득이다. ⑤ 세후 현금흐름은 세전 현금흐름에서 영업 소득세를 차감한 소득이다. 정답. ③ 해설. 순 영업소득은 유효 총소득에 각종 영업경비를 차감한 소득으로 부동산 운영을 통해 순수하게 귀속되는 영업소득이다. 이론. [이론]현금흐름 예측 및 분석 1. 현금흐름 예측 및 분석의 .. 2021. 10. 17.
[2017기출]부동산학개론 15. 투자 타당성 분석 문제. 투자 타당성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내부수익률은 순 현가를 '0'보다 작게 하는 할인율이다. ② 수익성지수는 순현금 투자지출 합계의 현재가치를 사업기간 중의 현금수입 합계의 현재가치로 나눈 상대지수이다. ③ 순 현가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에서 현금유출의 현재가치를 뺀 값이다. ④ 회수기간은 투자시점에서 발생한 비용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말하며, 회수기간 법에서는 투자 안 중에서 회수기간이 가장 장기인 투자 안을 선택한다. ⑤ 순 현가 법과 내부수익률 법에서는 투자판단기준을 위한 할인율로써 요구수익률을 사용한다. 정답. ③ 해설. ① 내부수익률은 순 현가를 '0'과 같게 하는 할인율이다. ② 수익성지수는 사업기간 중의 현금 수입 합계의 현재가치를 순현금 투자지출 합계의 현재가치로.. 2021. 10. 17.
[2017기출]부동산학개론 14. 지대 이론 문제. 지대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리카도는 지대 발생의 원인을 비옥한 토지의 희소성과 수확제감현상으로 설명하고 토지의 질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임대료의 차이로 보았다. ㄴ. 마셜은 일시적으로 토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을 준지대로 설명하고, 단기적으로 공급량이 일정한 생산요소에 지급되는 소득으로 보았다. ㄷ. 튀넨은 한계지의 생산비와 우등지의 생산비 차이를 절대지대로 보았다. ㄹ. 마르크스는 도시로부터 거리에 따라 농작물의 재배형태가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수송비의 차이가 지대의 차이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정답. ① 해설. ㄷ. 마르크스는 한계지의 생산비와 우등지의 .. 2021. 10. 17.
[2017기출]부동산학개론 13. 허프 모형(계산문제) 문제. 허프 모형을 활용하여 X지역의 주민이 할인점 A를 방문할 확률과 할인점 A의 월 추정 매출액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X지역의 현재 주민 : 4,000명 ○ 1인당 월 할인점 소비액 : 35만 원 ○ 공간마찰계수 : 2 ○ X 지역의 주민은 모두 구매자이고 A, B, C 할인점에서만 구매한다고 가정 구분 할인점 A 할인점 B 할인점 C 면적 500㎡ 300㎡ 450㎡ X지역 거주지로부터의 거리 5km 10km 15km ① 80%, 10억 9,200만 원 ② 80%, 11억 2,000만 원 ③ 82%, 11억 4,800만 원 ④ 82%, 11억 7,600만 원 ⑤ 82%, 12억 400만 원 정답. ② 해설. 1. X 지역 주민이 할인점 A를 방문할 확률 허프의 모형에 따르면 X 지역 주민이 어.. 2021. 10.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