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주택저당채권의 발행 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주택 수요자에게 안정적으로 장기대출을 해줄 가능성이 증가한다.
② 금융기관은 보유하고 있는 주택담보대출채권을 유동화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③ 채권 투자자는 안정적인 장기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④ 정부는 주택저당채권을 발행하여 단기적으로 주택 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다.
⑤ 주택금융자금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문제. 우리나라의 부동산 증권화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부동산에 대한 지분을 증권화한 부동산 상품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주택저당증권이다.
② 우리나라에서 발행된 주택저당증권은 대부분 다계층 저당채권(CMO)이다.
③ 부동산 투자회사는 주거용 부동산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④ 은행 부동산 투자신탁 상품과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에 의한 부동산 펀드는 주로 완성된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다.
⑤ 국민주택기금이 보유한 주택저당대출채권을 기초로 증권화한 주택저당증권은 발행된 전례가 없다.
문제. 부동산 금융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MBB의 투자자는 최초의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에 대한 소유권을 갖지 않는다.
② 한국 주택금융공사는 보유하고 있는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을 기초로 주택저당증권을 발행하고 있다.
③ MPTS란 지분형 주택저당증권으로 관련 위험이 투자자에게 이전된다.
④ 역모기지론은 한국은행에서 채권형태로 발행된다.
⑤ CMO의 발행자는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의 소유권을 갖는다.
문제. 국내 부동산 금융의 현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다양한 부동산 관련 자산을 기초로 한 자산유동화증권이 발행되고 있다.
② 부동산 투자회사 제도가 도입되면서 소액투자자도 대규모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
③ 부동산 개발 관련 대출채권이 증권화되면서 개발사업의 자금조달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④ 2차 주택저당 시장제도가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⑤ 부동산신탁회사의 신탁업무 중 토지(개발) 신탁업무는 아직 허용되고 있지 않다.
문제. 부동산 개발사업 자산유동화증권(이하, 부동산 개발 PF ABS)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부동산 개발 PF ABS는 부동산 개발업체의 개발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익 등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되는 자산유동화증권이다.
② 금융기관이 부동산 개발업체에게 대출을 실행하고 이 대출채권을 유동화전문회사에 매각하여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한다.
③ 부동산 개발 PF ABCP(자산담보부 기업어음)의 도관체는 상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회사로서 특례를 받을 수 있다.
④ 부동산 개발 PF ABS는 부동산 개발 PF ABCP에 비해 장기로 자금조달이 가능하다.
⑤ 부동산 개발업체는 부동산 개발 PF ABS를 활용하여 개발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문제. 부동산 증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우리나라 자산유동화증권(Asset-Backed Securities) 제도는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의해 도입되었다.
② 저당대출 자동이체 채권(Mortgage Pay-Through Bonds)은 하나의 저당 집합에서 만기와 이자율을 다양화하여 발행한 여러 종류의 채권을 말한다.
③ 저당대출 자동이체 채권은 저당채권 이체 증권(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과 주택저당 담보부채권(Mortgage-Backed Bonds)을 혼합한 성격의 주택저당증권(Motrgage-Backed Securities)이다.
④ 주택저당 담보부채권은 저당채권의 집합에 대한 채권적 성격의 주택저당증권이다.
⑤ 다계층 저당증권(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의 발행자는 저당채권의 풀(Pool)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면서 동 풀(Pool)에 대해 채권을 발행하는 것이다.
문제. 저당 담보부증권(MBS)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MPTS(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는 지분형 증권이기 때문에 증권의 수익은 기초자산인 주택저당채권 집합물(Mortgage Pool)의 현금흐름(저당 지불액)에 의존한다.
② MBB(Mortgage Backed Bond)의 투자자는 최초의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다.
③ CMO(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의 발생자는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을 가지고 일정한 가공을 통해 위험-수익 구조가 다양한 트렌치의 증권을 발행한다.
④ MPTB(Mortgage Pay-Through Bond)는 MPTS와 MBB를 혼합한 특성을 지닌다.
⑤ CMBS(Commercial Mortgage Backed Securities)란 금융기관이 보유한 상업용 부동산 모기지(Mortgage)를 기초 자산으로 하여 발행하는 증권이다.
문제. 부동산 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CMO(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s)는 트렌치별로 적용되는 이자율과 만기가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② MBB(Mortgage Backed Bond)는 채권형 증권으로 발행자는 초과담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③ MPTS(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의 조기상환 위험은 투자자가 부담한다.
④ 고정금리 대출을 실행한 대출기관은 금리 상승 시 차입자의 조기상환으로 인한 위험이 커진다.
⑤ 2차 저당 시장은 1차 저당 시장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문제. 저당 담보부증권(MBS) 도입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주택금융이 확대됨에 따라 대출기관의 자금이 풍부해져 궁극적으로 주택자금 대출이 확대될 수 있다.
② 주택금융의 대출이자율 하락과 다양한 상품 설계에 따라 주택 구입 시 융자받을 수 있는 금액이 증가될 수 있다.
③ 주택금융의 활성화로 주택 건설이 촉진되어 주거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④ 주택금융의 확대로 자기 소유 가구 비중이 감소한다.
⑤ 대출기관의 유동성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담보대출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문제.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령상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유동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유동화는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령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② 유동화자산의 양도 방식은 매매 또는 교환에 의한다.
③ 유동화전문회사는 상법상 주식회사로 한다.
④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은 금융위원회에 등록한 유동화 계획의 기재 내용대로 유사 자산을 반복적으로 유동화한다.
⑤ 자산 보유자(양도인)는 유동화자산에 대한 양수인의 반환청구권을 보장해야 한다.
문제. 모기지(Mortgage) 유동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MPTS(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는 지분형 증권이다.
② MPTB(Mortgage Pay-through Bond)의 경우, 조기상환 위험은 증권 발생자가 부담하고, 채무불이행 위험은 투자자가 부담한다.
③ MBB(Mortgage Backed Bond)의 경우, 신용보강을 위한 초과담보가 필요하다.
④ CMO(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는 상환 우선순위와 만기가 다른 다수의 층(Tranche)으로 구성된 증권이다.
⑤ 우리나라의 모기지 유동화 중개기관으로는 한국 주택금융공사가 있다.
'단원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금융(대출상환방식) (0) | 2021.11.18 |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금융(주택 금융)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금융(부동산 신탁)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정책(토지 정책)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정책(조세 정책)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