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부동산 증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우리나라 자산유동화증권(Asset-Backed Securities) 제도는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의해 도입되었다.
② 저당대출 자동이체 채권(Mortgage Pay-Through Bonds)은 하나의 저당 집합에서 만기와 이자율을 다양화하여 발행한 여러 종류의 채권을 말한다.
③ 저당대출 자동이체 채권은 저당채권 이체 증권(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과 주택저당 담보부채권(Mortgage-Backed Bonds)을 혼합한 성격의 주택저당증권(Motrgage-Backed Securities)이다.
④ 주택저당 담보부채권은 저당채권의 집합에 대한 채권적 성격의 주택저당증권이다.
⑤ 다계층 저당증권(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의 발행자는 저당채권의 풀(Pool)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면서 동 풀(Pool)에 대해 채권을 발행하는 것이다.
정답. ②
해설.
다계층 저당증권(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저당대출 자동이체 채권(Mortgage Pay-Through Bonds)]은 하나의 저당 집합에서 만기와 이자율을 다양화하여 발행한 여러 종류의 채권을 말한다.
이론.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22회)기출]부동산학개론 28.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0) | 2021.10.29 |
---|---|
[2011년(22회)기출]부동산학개론 27. 주택정책 (0) | 2021.10.29 |
[2011년(22회)기출]부동산학개론 25. 부동산 조세 (0) | 2021.10.29 |
[2011년(22회)기출]부동산학개론 24. 부동산 가격발생요인 (0) | 2021.10.29 |
[2011년(22회)기출]부동산학개론 23.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부동산 정책 (0) | 202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