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추가 정보101 [이론]부동산 이용 1. 토지이용활동 (1) 토지이용활동의 의의 부동산 이용활동은 토지이용활동과 건물 이용활동으로 구분되나 일반적으로 토지이용활동을 말한다. 토지이용활동이란 한정된 토지를 그 용도와 이용목적에 맞게 활용함으로써 토지의 유용성을 추구하려는 행위이다. (2) 토지이용의 행위기준 토지는 부증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물리적으로 절대량을 늘릴 수 없는 한정된 자원이다. 또한 용도의 다양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용도 중에서 최고 최선의 이용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처럼 한정된 토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부동산과 인간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행위기준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행위기준이 최유효 이용이다. ① 최유효이용의 의의 : 최유효 이용이란 객관적으로 보아 양식과 통상의 이용능력을 가진 사람이 부동산을.. 2021. 10. 12. [이론]부동산 금융 1. 부동산 금융 (1) 금융의 의의 금융이란 자금융통을 의미한다. 이때 자금을 빌리는 사람을 차입자라고 하고 자금을 빌려 주는 사람을 대출자라고 한다. (2) 부동산 금융의 의의 부동산 금융은 부동산을 대상으로 하는 자금융통, 즉 부동산을 운용대상으로 하여 자본을 조달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좀 더 넓은 의미로는 부동산의 개발, 취득 등의 목적으로 화폐와 신용을 이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도, 시장, 수단과 관계된 영역을 부동산 금융이라고 한다. 이러한 부동산 금융에는 부동산 거래의 활성화를 통해 부동산 개발 및 건설 활동을 촉진시키는 기능, 담보기능 등이 있고 감가상각 및 차입금 이자에 대한 세금 감면의 혜택 등이 있다. (3) 부동산 금융의 종류 부동산 금융은 토지 금융과 주택금융으로 .. 2021. 10. 12. [이론]인플레이션 1. 인플레이션의 의의 (1) 물가 및 물가지수 가격은 한 재화나 용역의 교환가치를 의미하나 물가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재화나 용역의 가격을 가중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말한다. 따라서 가격은 미시적 경제변수이고 물가는 거시적 경제변수이다. 이러한 물가의 움직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숫자로 나타낸 것을 물가지수라고 한다. (2) 물가지수의 종류 현재 우리나라에서 작성되고 있는 물가지수에는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수출입물가지수, GDP 디플레이터 등이 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작성하고 있고 생산자물가지수와 수출입물가지수, GDP 디플레이터 등은 한국은행에서 작성하고 있다. ①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란 가구에서 일상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 2021. 10. 12. [이론]건물의 특성 건물은 인간의 창조물이다. 이처럼 인간의 창조물인 건물이 자연물인 토지와 달리 지니고 있는 특별한 성질을 건물의 특성이라고 한다. 1. 이동 가능성 건물도 토지에 부착은 되어 있으나 최근 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주택이나 이동식 주택 등의 등장과 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건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2. 생산 가능성 부증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토지와 달리 건물은 인간의 창조물로 재생산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말한다. 3. 비영속성(반영속성, 내구성) 영속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토지와 달리 건물은 재생산이 가능한 내구소비재이고 내용연수를 가진 부동산이므로 비영속성을 갖는다는 특성을 말한다. 4. 동질성 개별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토지와 달리 건물은 인위적인 축조물이기 때문에 동일한 형이나 구.. 2021. 10. 1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