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14 [이론]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1. 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시장이란 매수자와 매도자에 의해 재화의 교환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을 말한다. 즉 어떤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가격이 결정되는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시장을 분류하는 방법도 다양한다. (1) 전국적 시장과 지역적 시장 전국을 단위로 형성되는 시장을 전국적 시장, 지역을 단위로 형성되는 시장을 지역적 시장이라고 한다. 부동산 시장은 부동산의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즉 부동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일정 지역에 국한되는 지역적 시장이다. (2) 구체적 시장과 추상적 시장 서울의 남대문시장이나 부산의 자갈치시장 등과 같이 특정한 장소를 통하여 교환이 이루어지는 시장을 구체적 시장이라고 하고 특정한 장소를 통하지 않고도 교환이 이루어지는 .. 2021. 10. 1.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15. 주택의 여과 과정과 주거 분리 문제. 주택의 여과 과정(filtering Process)과 주거 분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주택의 하향 여과 과정이 원활하게 작동하면 저급 주택의 공급량이 감소한다. ② 저급 주택이 재개발되어 고소득 가구의 주택으로 사용이 전환되는 것을 주택의 상향 여과 과정이라 한다. ③ 저소득가구의 침입과 천이 현상으로 인하여 주거입지의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④ 주택의 개량비용이 개량 후 주택가치의 상승분보다 크다면 하향 여과 과정이 발생하기 쉽다. ⑤ 여과 과정에서 주거 분리를 주도하는 것은 고소득 가구로 정(+)의 외부효과를 추구하고 부(-)의 외부효과를 회피하려는 동기에서 비롯된다. 정답. ① 해설. 주택의 하향 여과 과정이 원활하게 작동하면 저급 주택의 공급량이 증가하므로 감소한다는 것은 틀린.. 2021. 10. 1. [이론]주택시장분석 1. 주택시장 (1) 주택시장의 특성 주택은 소비재이면서도 투자재로서의 양면성을 지닌다. 물리적인 측면에서 주택은 이질성이 강한 재화이므로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아 균형 가격의 형성이 곤란하므로 주택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이다. 이러한 주택시장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주택은 내구성이 강한 재화이므로 매매시장뿐만 아니라 임대차시장도 존재하고 거래의 빈도도 일반 재화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주택시장은 지역적 경향이 강하고 지역 수요에 의존하기 때문에 적정 가격 도출이 어렵다. 주택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을 전제로 하는 이론이나 모형으로 분석이 용이하지 못하다. 일반 재화에 비하여 주택의 수요와 공급은 비탄력적이나 주택공급에 있어서 비탄력의 정도가 더욱 크게 나타난다. 주택은 일반 재화에 비하여 고가의.. 2021. 10. 1. [이론]지대 및 지가이론 1. 지대 및 지가 (1) 지대 및 지가의 의의 지대란 일정기간 동안 토지의 사용, 수익에 대한 대가를 의미하므로 유량의 개념이다. 이러한 지대는 토지뿐만 아니라 공급이 고정된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를 총칭하는 것으로 토지와 같이 공급이 고정된 생산요소가 생산과정에서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지불되는 보수를 의미한다. 지가란 일정 시점에서 토지의 교환에 대한 대가를 의미하므로 저량의 개념이다. (2) 지대와 지가의 관계 매년마다 일정 금액의 지대가 영구히 발생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러한 지대를 할인율로 할인한 값, 즉 지대의 현재가치가 지가가 된다. 따라서 지대와 지가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때 할인율은 투자자의 요구수익률을 사용한다. 지대가 상승하면 지가는 상승하고 지대가 하락하.. 2021. 10. 1. 이전 1 ··· 1070 1071 1072 1073 1074 1075 1076 ··· 107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