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14

[이론]부동산 경기변동 1. 부동산 경기 (1)부동산 경기의 의의 일반적으로 부동산 경기란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를 말한다. 이러한 부동산 경기를 협의, 광의, 최광의의 부동산 경기로 구분하기도 한다. 협의의 부동산 경기 :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 광의의 부동산 경기 :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와 상, 공업용 부동산의 건축경기를 합한 것 최광의의 부동산 경기 :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와 상, 공업용 부동산의 건축경기, 토지 경기를 모두 합한 것 (2) 부동산 경기의 구성요인 일반 경기와 마찬가지로 부동산 경기를 구성하고 있는 시계열 자료에는 추세(장기) 변동, 순환변동, 계절변동, 불규칙(무작위, 우발적) 변동 등의 요인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순환적 변동과 비순환적 변동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추세 변동과 계절변동, 불규.. 2021. 10. 1.
[이론]거미집 이론 1. 거미집 이론의 의의 및 가정 (1) 거미집 이론의 의의 에치켈의 거미집 이론은 공급의 시차를 이용하여 시장 균형의 동태적 안정성을 설명하려 한 동태(정태X)이론이다. 수요와 공급이 가격 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변동하는 것과는 달리 수요는 가격 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변동하나 공급은 한 기간 늦게 변동할 때의 가격결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따라서 거미집 이론은 시간 개념을 도입한 동태 이론의 한 예이고 농산물이나 부동산처럼 공급의 시차가 존재하는 상품에 적용할 수 있다. (2) 거미집이론의 가정 거미집 이론은 다음 3가지 조건을 가정하고 있다. 수요(량)은 현재 시점, 즉 금기의 가격을 즉시 반영한다. 따라서 현재 시점의 가격에 의해 현재 시점의 수요(량)가 결정된다. 공급(량)은 지난 시점, 즉 전.. 2021. 10. 1.
[이론]유량과 저량 경제학에서는 일정기간을 명시하여야 측정되는 변수를 유량이라고 하고 일정시점에서 측정 할 수 있는 변수를 저량이라고 한다. 유량과 저량의 개념은 흔히 저수지와 비교된다. 저수지에서 흘러나온 물이나 저수지로 흘러 들어가는 물은 유량이고 저수지에 고여 잇는 물은 저량이다. 1. 유량 유량이란 일정한 기간을 정해야 측정이 가능한 개념을 말한다. 이러한 유량의 예는 다음과 같다. GDP 국제수지 수출액 수입액 임료 지대 월급여 연봉 순 영업소득(NOI) 당기순이익 이자비용 신규주택 공급량(앞으로 일정한 기간동안 공급될 양) 2. 저량 저량이란 일정한 시점에서만 측정이 가능한 개념을 말한다. 이러한 저량의 예는 다음과 같다. 통화량 노동량 자본량 국부 외채 외환보유고 가격 지가 자산의 가치 부채 인구수 주택 재고량.. 2021. 10. 1.
[이론]정부의 부동산 시장 개입 방법 1. 직접적 개입 방법 직접적 개입 방법이란 정부나 공기업 등 공적주체가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자나 공급자의 역할을 직접 수행하여 부동산 가격안정, 주거복지증진 등의 정책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한국 토지주택공사를 통한 택지공급이나 공공임대주택의 건설 공급, 공공분양주택의 건설 공급 등은 직접적인 개입 방법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ex. 토지수용, 공영개발, 토지은행, 토지 선매, 공공주택공급, 공공투자사업, 가격통제(분양가 규제) 2. 간접적 개입 방법 간접적 개입방법이란 부동산 시장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부동산 관련한 조세제도나 금융지원, 토지에 대한 이용 규제, 거래 규제, 개발규제 등을 통해 경제적 동기를 조성하거나 시장 기능을 조장하는 방법을 말한다. 취득세, 종합부동산세, LTV, .. 2021. 10.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