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계산문제145

[2008년(19회)기출]부동산학개론 22. NPV, PI(계산문제) 문제. 다음 표와 같은 투자사업들이 있다. 이 사업들은 모두 사업기간이 1년이며, 금년에는 현금지출만 발생하고 내년에는 현금 유입만 발생한다고 한다. 할인율이 5%라고 할 때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A와 C의 NPV(순현가)는 같다. ② NPV가 가장 작은 사업은 D이다. ③ C의 PI(수익성 지수)는 4이다. ④ PI가 큰 순서는 C > B > A > D이다. ⑤ 총투자비가 300만 원일 경우, A만 수행하는 투자 안보다 B, C, D를 함께 수행하는 투자 안의 타당성이 더 높다. 정답. ④ 해설. 각 사업의 NPV와 PI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PI가 큰 순서는 C > B > D > A이다. 이론. [이론]투자의 타당성 분석 1. 부동산 투자의 의사결정 (1) 시장 참여자 ① 지분 투자자.. 2021. 11. 4.
[2008년(19회)기출]부동산학개론 20. 세후현금수지(계산문제) 문제. 다음 임대주택사업의 세후 현금수지는 얼마인가? ○ 순운영소득 : 140,000,000원 ○ 재산세 : 5,000,000원 ○ 연간융자월부금 : 90,000,000원 ○ 융자이자 : 70,000,000원 ○ 감가상각 : 10,000,000원 ○ 소득세율 : 30% ① 18,000,000원 ② 27,000,000원 ③ 32,000,000원 ④ 45,000,000원 ⑤ 50,000,000원 정답. ③ 해설. 순운영소득(순영업소득)부터 세후 현금수지까지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순운영소득에서 연간 융자 월부금을 차감하면 세전 현금흐름이 되고 세전 현금흐름에서 영업 소득세를 차감하면 세후 현금흐름이 됩니다. 또한 영업 소득세는 순운영소득에서 융자이자와 감가상각을 차감한 것에 소득세율을 곱해서 산정합니다. 이를.. 2021. 11. 4.
[2008년(19회)기출]부동산학개론 11.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계산문제) 문제. 어떤 부동산에 대한 수요 및 공급 함수가 각각 Q = 900 - P, Q = 2P이다. 소득 증가로 수요 함수가 Q = 1200 - P로 변한다면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은 어떻게 변하는가? ① 균형 가격은 300만 원에서 400만 원으로 상승, 균형 거래량은 600㎡에서 800㎡로 증가 ② 균형 가격은 900만 원에서 1,200만 원으로 상승, 균형 거래량은 600㎡에서 800㎡로 증가 ③ 균형 가격은 40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하락, 균형 거래량은 600㎡에서 800㎡로 증가 ④ 균형 가격은 300만 원에서 400만 원으로 상승, 균형 거래량은 900㎡에서 1,200㎡로 증가 ⑤ 균형 가격은 90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상승, 균형 거래량은 900㎡에서 600㎡로 감소 정답. ① .. 2021. 11. 4.
[2008년(19회)기출]부동산학개론 8. 시장수요함수 문제. 어떤 부동산에 대한 시장 수요 함수는 P = 100 - 4Q이며, 이 시장의 수요자는 모두 동일한 개별수요 함수를 갖는다. 이 시장의 수요자 수가 2배로 된다면 새로운 시장 수요 함수는? ① P=100-4Q ② P=100-2Q ③ P=100-8Q ④ P=200-4Q ⑤ P=200-8Q 정답. ② 해설. 2021년에도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었는데.. 역시 기출이 중요합니다.^^ 수요자의 수가 2배로 증가하면 수요 함수의 기울기가 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즉 더 완만한 모양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요 함수의 기울기 -4가 -2가 됩니다. 이론. [이론] 부동산 수요 1. 부동산 수요와 수요량 소비자들이 어떤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 수준에 대응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수요라고 .. 2021. 11.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