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추가 정보101 [이론]도시공간구조이론 1.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 (1) 동심원 이론의 의의 및 주요 내용 동심원 이론은 1920년대 미국의 시카고 시를 대상으로 한 도시공간구조 이론으로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다. 동심원 이론은 거주지 분화 현상의 연구를 통하여 도시팽창이 도시 내부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동심원 이론은 도시의 공간구조를 도시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따라서 도시의 공간구조 형성을 침입, 경쟁, 천이라는 생태학적 변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동심원의 형태로 중심 업무지구, 천이 지대(점이지대), 저소득층 주거 지대, 고소득층 주거 지대, 통근자 지대 등 5개의 동심원 지대로 분화되면서 도시가 성장한다는 이론이다. 도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농업경영조직이 다르게 형성되어 동심원의 형태로 여러 개의 .. 2021. 10. 2. [이론]효율적 시장 1. 효율적 시장 효율적 시장이란 정보가 지체 없이 가치에 반영되는 시장을 말한다. 효율적 시장이론은 금융 분야에서 발전된 이론으로 당초에는 주식시장에서 정보가 주식 가격에 어떻게 반영되는가 하는 가설의 형태로 출발하였으나 현재에는 많은 검증을 거쳐 이론으로 굳어져 가고 있다. 이와 같은 효율적 시장이론은 최근에 부동산학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1) 효율적 시장의 의의 부동산시장이 새로운 정보를 얼마나 지체 없이 가치에 반영하는가 하는 것을 시장의 효율성이라 하는데 정보가 지체 없이 가치에 반영되는 시장을 효율적 시장이라고 한다. 이러한 효율적 시장에서는 정보의 효율성을 강조한다. 효율적 시장은 본질적으로 제품의 동질성과 상호 간의 대체성이 있는 시장이다. 효율적 시장에서는 반영된 정보를 통하.. 2021. 10. 1. [이론]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1. 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시장이란 매수자와 매도자에 의해 재화의 교환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을 말한다. 즉 어떤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가격이 결정되는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시장을 분류하는 방법도 다양한다. (1) 전국적 시장과 지역적 시장 전국을 단위로 형성되는 시장을 전국적 시장, 지역을 단위로 형성되는 시장을 지역적 시장이라고 한다. 부동산 시장은 부동산의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즉 부동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일정 지역에 국한되는 지역적 시장이다. (2) 구체적 시장과 추상적 시장 서울의 남대문시장이나 부산의 자갈치시장 등과 같이 특정한 장소를 통하여 교환이 이루어지는 시장을 구체적 시장이라고 하고 특정한 장소를 통하지 않고도 교환이 이루어지는 .. 2021. 10. 1. [이론]주택시장분석 1. 주택시장 (1) 주택시장의 특성 주택은 소비재이면서도 투자재로서의 양면성을 지닌다. 물리적인 측면에서 주택은 이질성이 강한 재화이므로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아 균형 가격의 형성이 곤란하므로 주택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이다. 이러한 주택시장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주택은 내구성이 강한 재화이므로 매매시장뿐만 아니라 임대차시장도 존재하고 거래의 빈도도 일반 재화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주택시장은 지역적 경향이 강하고 지역 수요에 의존하기 때문에 적정 가격 도출이 어렵다. 주택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을 전제로 하는 이론이나 모형으로 분석이 용이하지 못하다. 일반 재화에 비하여 주택의 수요와 공급은 비탄력적이나 주택공급에 있어서 비탄력의 정도가 더욱 크게 나타난다. 주택은 일반 재화에 비하여 고가의.. 2021. 10. 1.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