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추가 정보101

[이론]공업 입지 1. 공업지의 입지조건 (1) 공업지의 입지조건 공업지의 유용성은 생산성에 있다. 이러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업지의 입지조건은 크게 자연적 조건과 사회적, 행정적 조건으로 구분되나 공업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고 기술과 교통의 발달로 자연적 조건보다는 사회적, 행정적 조건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자연적 조건 : 기후, 지형, 지질, 용수, 지리적 위치 등 사회적, 행정적 조건 : 원료, 노동력, 시장, 교통, 통신, 자본, 기술, 세금, 정부의 정책 등 (2) 공업지의 지역요인 공업지의 지역요인은 다음과 같다. 제품의 판매시장과 원재료 구입 시장과의 위치, 거리관계 연관 산업의 위치 관계 간선도로, 항만, 철도 등 사회간접시설의 확충 상태 동력자원 및 용, 배수에 관한 비용 노동력 확보의 .. 2021. 10. 7.
[이론]입지론의 의의 1. 입지와 입지선정 (1) 입지 입지란 어떠한 경제주체가 차지하고 있는 장소를 말하는데 입지조건이란 입지 주체가 입지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로 하는 자연적, 인문적인 제 조건을 말한다. 이러한 입지조건에는 자연조건과 인문 조건이 있다. 자연조건 : 지형, 지질, 지세, 기후, 강수 등으로 인간의 힘으로 극복하고 통제하기 어려운 것 인문 조건 : 도로, 항만, 철도 등으로 인간의 힘으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 것 (2) 입지 선정 입지선정이란 입지 주체가 입지조건을 갖춘 토지를 발견하는 것으로 주변의 이용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경제적 위치(상대적 위치)와 부지 자체의 물리적 위치(절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입지선정의 기준은 부동산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주거지역은 쾌.. 2021. 10. 7.
[이론]수요와 공급의 균형 1. 수요와 공급의 균형 부동산 시장의 균형도 일반 재화에 있어서처럼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의해서 달성된다. 부동산 시장에서 초과수요(수요량> 공급량)는 가격 또는 임료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초과공급(공급량> 수요량)은 가격 또는 임료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결국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아져서 초과수요도 초과공급도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며 이는 수요자 및 공급자 모두가 만족하여 다른 가격으로 변경할 이유가 없는 상태로 균형이라고 한다. (1) 균형 조건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아야 한다. 이는 수요곡선과 공급 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결정되는데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점을 균형 또는 균형점이라고 한다. (2) 균형 가격 및 균형 거래량 균형점에서의 가격을 균형 가격이라고 하고 균형점에서의.. 2021. 10. 7.
[이론]부동산 문제와 부동산 정책 1. 부동산 문제 (1) 부동산 문제의 의의 올바르지 못한 부동산 활동으로 인하여 부동산과 인간과의 관계가 악화된다. 이처럼 부동산과 인간과의 관계 악화에 따른 제반 문제를 부동산 문제라고 한다. 부동산 문제는 크게 토지문제, 주택문제, 국토이용의 비효율성에 따른 문제, 거래질서의 문란 문제 등으로 구분된다. (2) 부동산 문제의 특징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부의 공적인 노력을 부동산 정책이라고 한다. 이처럼 정부는 부동산 정책을 통하여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데 쉬운 일만은 아니다 부동산 문제는 악화 성향, 비가역성, 지속성, 복합성, 해결수단의 다양성이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① 악화 성향 : 악화 성향이란 부동산 문제가 한번 발생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악화되기 쉽고 이를 바로 잡.. 2021. 10.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