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업지의 입지조건
(1) 공업지의 입지조건
공업지의 유용성은 생산성에 있다. 이러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업지의 입지조건은 크게 자연적 조건과 사회적, 행정적 조건으로 구분되나 공업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고 기술과 교통의 발달로 자연적 조건보다는 사회적, 행정적 조건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 자연적 조건 : 기후, 지형, 지질, 용수, 지리적 위치 등
- 사회적, 행정적 조건 : 원료, 노동력, 시장, 교통, 통신, 자본, 기술, 세금, 정부의 정책 등
(2) 공업지의 지역요인
공업지의 지역요인은 다음과 같다.
- 제품의 판매시장과 원재료 구입 시장과의 위치, 거리관계
- 연관 산업의 위치 관계
- 간선도로, 항만, 철도 등 사회간접시설의 확충 상태
- 동력자원 및 용, 배수에 관한 비용
- 노동력 확보의 난이성 여부
-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 등 공해발생의 위험성 등
2. 공업 입지 이론
(1) 베버의 최소비용 이론
독일의 경제학자인 베버는 비용 최소화의 원리에 입각하여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지점, 즉 최소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을 최적의 공업입지라고 하면서 공업입지에 관한 이론을 처음으로 체계화하였다. 이를 최소비용 이론이라고 한다.
① 가정 : 베버는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 기후나 지형, 경제, 기술 조직 등은 모든 지역이 동일하다.
- 원료 산지와 소비시장은 일정한 곳에 고정되어 있다.
- 수송비는 원료와 제품의 무게와 수송되는 거리에 비례한다.
- 노동력은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있고 비 이동적이나 공급은 무제한이다.
- 임금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생산자는 합리적인 경제인이다.
② 주요 내용 : 산업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수송비(운송비), 노동력(임금), 집적력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업입지를 결정하는 이론으로 수송비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다른 비용이 일정할 경우 생산 및 판매에 있어 드는 수송비의 합이 최소인 지점이 최적 입지이며 이를 최소 수송비(운송비) 입지라고 한다. 수송비는 원료와 제품의 무게와 원료와 제품이 수송되는 거리에 비례한다. 다음 단계로 저렴한 노동력이 있는 지점을 고려하는데, 저렴한 노동력이 있는 지점이란 수송비 증가폭을 노동비 절감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지점을 말한다. 다음 단계로 집적력, 즉 접적의 이익을 유발할 수 있는 지점을 고려하였다. 집적 이익이란 여러 공장이 한 지역에 집적함으로써 얻는 이익을 말한다. 결국 최적의 공업입지는 최소 수송비(운송비) 지점, 저렴한 노동력이 있는 지점, 집적이익을 유발할 수 있는 지점 순으로 결정된다.
(2) 뢰시의 최대수요 이론
베버의 최소비용 이론은 비용 최소화의 원리에 입각하여 공급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베버의 최소비용 이론은 너무 생산비에만 치우쳐 있다는 점의 이의를 제기하고 뢰쉬는 이윤 극대화를 위해 수요 측면을 강조하였는데, 이를 뢰쉬의 최대 수요 이론이라고 한다. 이윤 극대화를 위한 공장의 최적 입지는 수요가 최대인 지점, 즉 시장의 확대 가능성이 가장 풍부한 곳이라고 하였다.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수요량은 감소하는데 수송비를 소비자가 부담하므로 거리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3. 공업 입지 지향성
(1) 수송비
원료산지 가까이 입지 함으로써 수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면 공장은 원료산지 가까이 입지 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를 원료 지향형 또는 자원 지향형이라고 한다. 또한 시장 가까이 입지 함으로써 수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면 공장은 시장 가까이 입지 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를 시장지향형 또는 소비자 지향형이라고 한다.
(2) 노동력
노동집약적 산업, 미숙련공을 많이 사용하는 산업, 값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 노임 지수가 크게 나타나는 산업 등은 노동력이 풍부하여 임금이 저렴한 지역에 입지 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를 노동 지향형이라고 한다. 섬유공업, 의류 공업, 신발 공업, 가내수공업 등이 해당된다.
(3) 집적력
운송비의 비중이 적고 기술 연관성이 높으며 계열화된 산업, [기술, 정보, 시설, 원료] 등의 공동이용을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산업 등은 집적지역에 입지 함으로써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집적지역에 입지 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를 집적 지향형이라고 한다. 석유화학공업, 자동차공업 등이 해당된다.
'추가 정보 > 부동산학개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상업 입지 (0) | 2021.10.07 |
---|---|
[이론]주거 입지 (0) | 2021.10.07 |
[이론]입지론의 의의 (0) | 2021.10.07 |
[이론]수요와 공급의 균형 (0) | 2021.10.07 |
[이론]부동산 문제와 부동산 정책 (0) | 2021.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