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기출]부동산학개론 8. 입지계수(계산문제)
문제. 각 도시의 산업별 고용자 수가 다음과 같을 때 X 산업의 입지계수(Locational Quotient)가 1을 초과하는 도시를 모두 고른 것은? 구분 A 도시 B 도시 C 도시 D 도시 전국 X 산업 400 1,200 650 1,100 3,350 Y 산업 600 800 500 1,000 2,900 합계 1,000 2,000 1,150 2,100 6,250 ① A, B ② A, C ③ B, C ④ B, D ⑤ C, D 정답. ③ 해설. 입지계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X 산업의 지역별 입지계수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어차피 1을 초과하는 도시를 고르면 되므로 계산은 여기까지만 하면 됩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시간을 단축해야죠.^^ 여기서 분자가 분모보다 큰 것을 고르면 B 도시와 C 도..
2021. 10. 19.
[2016기출]부동산학개론 6. 거미집 이론
문제. A, B, C 부동산 시장이 다음과 같을 때 거미집 이론에 따른 각 시장의 모형 형태는? 구분 A 시장 B 시장 C 시장 수요곡선 기울기 -0.8 -0.3 -0.6 공급곡선 기울기 0.6 0.3 1.2 ① A : 수렴형, B : 발산형, C : 순환형 ② A : 순환형, B : 발산형, C : 수렴형 ③ A : 발산형, B : 수렴형, C : 순환형 ④ A : 수렴형, B : 순환형, C : 발산형 ⑤ A : 발산형, B : 순환형, C : 수렴형 정답. ⑤ 해설. 거미진 이론의 모형 형태는 수탄수와 공기수만 알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위 문제에는 조건으로 기울기가 주어졌으므로 공기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여기서 공기수라 하는 것은.. 1.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수요곡선의 기울기보다 크면 수렴형..
2021.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