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4314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18. 정부가 시행 중인 부동산 정책 문제. 정부가 시행 중인 부동산 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국토교통부 장관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개발제한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 ② 도시계획구역 안의 택지에 한하여 가구별 소유 상한을 초과하는 해당 택지에 대하여는 초과소유부담금을 부과한다. ③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를 통하여 토지비축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④ 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용도지역제를 실시하고 있다. ⑤ 국토교통부 장관은 주택 가격의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일정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② 해설. ​ 도시계획구역 안의 택지에 한하여 가구별 소유 상한을 초과하는 해당 택지.. 2021. 10. 8.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17. 저당담보부증권(MBS) 도입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효과 문제. 저당 담보부증권(MBS) 도입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주택금융이 확대됨에 따라 대출기관의 자금이 풍부해져 궁극적으로 주택자금 대출이 확대될 수 있다. ② 주택금융의 대출이자율 하락과 다양한 상품설계에 따라 주택 구입 시 융자받을 수 있는 금액이 증가될 수 있다. ③ 주택금융의 활성화로 주택 건설이 촉진되어 주거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④ 주택금융의 확대로 자기 소유 가구 비중이 감소한다. ⑤ 대출기관의 유동성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담보대출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정답. ④ 해설. ​ 저당담보부증권(MBS)가 도입됨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효과에 대해 물어봐서 복잡한 문제인 줄 알았는데 단순하게 대출이 확대될 경우의 장점을 나열해놔서 허무한 문제입니다.^^; .. 2021. 10. 8.
[이론]주택저당채권 유동화 제도 1. 저당 시장의 구조 차입자 :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고자 하는 자금의 수요자 대출자 :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한 금융기관 등 자금의 공급자 한국 주택금융공사 : 자본시장의 여유자금이 주택시장으로 유입되도록 대출자와 투자자 사이에서 유동화 중개기관, 2차 대출기관의 역할 수행 (1) 1차 저당 시장(주택자금 대출시장) ① 의의 : 금융기관은 수취한 예금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제공하는데 이를 1차 저당 시장이라 한다. 따라서 1차 저당 시장은 주택담보대출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주택을 담보로 저당대출을 원하는 수요자들과 융자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으로 이루어지는 시장을 말한다. 대출자가 자금을 차입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시장이다. 저당이 최초로 성립되는 단계로 저당채권이 형성되는 시장이다. ② 1차 대출기.. 2021. 10. 8.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16. 입지계수(계산문제) 문제. 각 지역과 산업별 고용자수가 다음과 같을 때, A 지역 X 산업과 B 지역 Y 산업의 입지계수(LQ)를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구분 A 지역 B 지역 전지역 고용자수 X 산업 고용자수 100 140 240 입지계수 ( ㄱ ) 1.17 Y 산업 고용자수 100 60 160 입지계수 1.25 ( ㄴ ) 고용자수 합계 200 200 400 ① ㄱ : 0.75, ㄴ : 0.83 ② ㄱ : 0.75, ㄴ : 1.33 ③ ㄱ : 0.83, ㄴ : 0.75 ④ ㄱ : 0.83, ㄴ : 1.20 ⑤ ㄱ : 0.83, ㄴ : 1.33 정답. ③ 해설. ​ 1. 빨리 푸는 방법 ​ 위 문제의 경우 A 지역과 B 지역의 고용자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X 산업이나 Y 산업의 각 지역별 입지계수의 합은 2가 됩니다. ​따라.. 2021. 10.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