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도시공간구조 및 입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동심원설에 의하면 중심지와 가까워질수록 범죄, 빈곤 및 질병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② 선형 이론에 의하면 주택구입능력이 높은 고소득층의 주거지는 주요 간선도로 인근에 입지 하는 경향이 있다.
③ 다핵심 이론에서는 다핵의 발생요인으로 유사활동 간 분산 지향성, 이질 활동 간 입지적 비 양립성 등을 들고 있다.
④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은 교통의 발달이지 소득의 증가와는 관계가 없다.
⑤ 잡화점, 세탁소는 산재성 점포이고, 백화점, 귀금속점은 집재성 점포이다.
문제.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 이론에서는 상호 편익을 가져다주는 활동(들)의 집적 지향성(집적이익)을 다핵 입지 발생 요인 중 하나로 본다.
② 알론소의 입찰 지대 곡선은 여러 개의 지대 곡선 중 가장 높은 부분을 연결한 포락선이다.
③ 헤이그의 마찰 비용 이론에서는 교통비와 지대를 마찰 비용으로 본다.
④ 리카도의 차액 지대설에서는 지대 발생 원인을 농토의 비옥도에 따른 농작물 수확량의 차이로 파악한다.
⑤ 마샬은 일시적으로 토지의 성격을 가지는 기계, 기구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파레토 지대로 정의하였다.
문제. 다음 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호이트에 의하면 도시는 전체적으로 원을 반영한 부채꼴 모양의 형상으로 그 핵심의 도심도 하나하나 교통의 선이 도심에서 방사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ㄴ. 뢰시는 수요 측면의 입장에서 기업은 시장 확대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ㄷ. 튀넨은 완전히 단절된 고립국을 가정하여 이곳의 작물 재배 활동은 생산비와 수송비를 반영하여 공간적으로 분화된다고 보았다. |
① ㄱ
② ㄷ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문제. 다음 입지와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컨버스는 소비자들의 특정 상점의 구매를 설명할 때 실측 거리, 시간거리, 매장 규모와 같은 공간 요인뿐만 아니라 효용이라는 비공간요인도 고려하였다. ㄴ. 호이트는 저소득층의 주거지가 형성되는 요인으로 도심과 부도심 사이의 도로, 고지대의 구릉지, 주요 간선도로의 근접성을 제시하였다. ㄷ. 넬슨은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떤 장소에 입지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ㄹ. 알론소는 단일 도심 도시의 토지이용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입찰 지대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ㄴ, ㄷ, ㄹ
문제.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에 따르면 중심 업무지구와 저소득층 주거지대 사이에 점이지대가 위치한다.
② 호이트의 선형 이론에 따르면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분화는 주요 교통축을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난다.
③ 해리스와 울만은 다핵심 이론에서 교통축을 적용하여 개선한 이론이 호이트의 선형 이론이다.
④ 헤이그의 마찰 비용 이론에 따르면 마찰 비용은 교통비와 지대로 구성된다.
⑤ 알론소의 입찰 지대 곡선은 도심에서 외각으로 나감에 따라 가장 높은 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각 산업의 지대 곡선들을 연결한 것이다.
'단원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정책(종합) (0) | 2021.11.18 |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정책(주택 정책)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지대, 도시, 입지(입지론)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지대, 도시, 입지(도시공간구조이론)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지대, 도시, 입지(지대이론)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