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기출문제2283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33.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노후연금 문제. 한국 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 노후연금(주택연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주택연금은 주택 소유자가 주택에 저당권을 설정하고 연금방식으로 노후생활자금을 대출받는 제도이다. ② 주택연금은 수령 기간이 경과할수록 대출 잔액이 누적된다. ③ 주택 소유자(또는 배우자)가 생존하는 동안 노후생활자금을 매월 지급받는 방식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다. ④ 담보주택의 대상으로 업무시설인 오피스텔도 포함된다. ⑤ 한국 주택금융공사는 주택연금 담보주택의 가격 하락에 대한 위험을 부담할 수 있다. 정답. ④ 해설. 담보주택의 대상으로 업무시설인 오피스텔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론. [이론]주택저당채권 유동화 제도 1. 저당 시장의 구조 차입자 :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고자 하는 자금의 수요자 대출자 : 주택을 .. 2021. 10. 4.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32. 부동산금융의 자금조달 방식 중 지분금융 문제. 부동산금융의 자금조달 방식 중 지분 금융(equity financing)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부동산투자회사(REITs) ㄴ.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ㄷ. 공모(public offering)에 의한 증자 ㄹ. 프로젝트 금융 ㅁ. 주택상환사채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ㅁ ④ ㄴ, ㄹ, ㅁ ⑤ ㄱ, ㄴ, ㄹ, ㅁ 정답. ② 해설. 부동산 투자회사(REITs), 공모(public offering)에 의한 증자가 지분 금융에 해당합니다.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 프로젝트 금융, 주택상환사채는 부채 금융에 해당합니다. 이론. [이론]부동산 유동화 제도 1. 부동산 유동화 (1) 부동산 유동화와 부동산 증권화 ① 부동산 유동화 : 부동산 유동화란 부동산의 특성 중 지리.. 2021. 10. 3.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31. 대출금리와 2회차 상환 할 원금(계산문제) 문제. A는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 은행으로부터 연초에 4억 원을 대출받았다. A가 받은 대출의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대출금리(ㄱ)와 2회 차에 상환할 원금(ㄴ)은? ○ 대출금리 : 고정금리 ○ 대출 기간 : 20년 ○ 연간 저당 상수 : 0.09 ○ 1회차 원금 상환액 : 1,000만 원 ○ 원리금 상환조건 : 원리금균등상환방식, 매년 말 연단 위 상환 ① ㄱ: 연간 5.5%, ㄴ: 1,455만 원 ② ㄱ: 연간 6.0%, ㄴ: 1,260만 원 ③ ㄱ: 연간 6.0%, ㄴ: 1,455만 원 ④ ㄱ: 연간 6.5%, ㄴ: 1,065만 원 ⑤ ㄱ: 연간 6.5%, ㄴ: 1,260만 원 정답. ④ 해설. ​ 1. 대출금리의 계산 ​ 연금의 현재가치 공식을 활용해 매 기마다 상환해야 할 원리금을 구합니다... 2021. 10. 3.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30. 적금의 미래가치(계산문제) 문제. A는 매월 말에 50만 원씩 5년 동안 적립하는 적금에 가입하였다. 이 적금의 명목금리는 연 3%이며, 월복리 조건이다. 이 적금의 미래가치를 계산하기 위한 식으로 옳은 것은? ​ 정답. ② 해설. ​ 적금의 미래가치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A는 적금(연금)의 금액이고 r는 이자율, n는 적립 횟수(연금을 받는 횟수)입니다. 따라서 A는 50만 원입니다. 그런데 적금은 매월 적립하고, 월복리로 계산한다고 했기 때문에 이자율(r)은 3%가 아니라 ​가 됩니다. 또한 적립 횟수(n)도 매월 적립하기 때문에 5년이 아니라 n = 5 X 12가 됩니다. 따라서 A, r, n 값을 대입하면 ②번 식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론. [이론]화폐의 시간가치 1. 화폐의 시간가치 (1.. 2021. 10.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