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공인중개사2371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17. 입지와 도시공간구조 문제. 다음 입지와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컨버스는 소비자들의 특정 상점의 구매를 설명할 때 실측 거리, 시간거리, 매장 규모와 같은 공간 요인뿐만 아니라 효용이라는 비공간요인도 고려하였다. ㄴ. 호이트는 저소득층의 주거지가 형성되는 요인으로 도심과 부도심 사이의 도로, 고지대의 구릉지, 주요 간선도로의 근접성을 제시하였다. ㄷ. 넬슨은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떤 장소에 입지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ㄹ. 알론소는 단일 도심 도시의 토지이용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입찰 지대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ㄴ, ㄷ, ㄹ 정답. ④ 해설. ㄱ. 에서 소비자들의 특정 상점의 구매를 설명할.. 2021. 10. 2. [이론]도시공간구조이론 1.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 (1) 동심원 이론의 의의 및 주요 내용 동심원 이론은 1920년대 미국의 시카고 시를 대상으로 한 도시공간구조 이론으로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다. 동심원 이론은 거주지 분화 현상의 연구를 통하여 도시팽창이 도시 내부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동심원 이론은 도시의 공간구조를 도시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따라서 도시의 공간구조 형성을 침입, 경쟁, 천이라는 생태학적 변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동심원의 형태로 중심 업무지구, 천이 지대(점이지대), 저소득층 주거 지대, 고소득층 주거 지대, 통근자 지대 등 5개의 동심원 지대로 분화되면서 도시가 성장한다는 이론이다. 도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농업경영조직이 다르게 형성되어 동심원의 형태로 여러 개의 .. 2021. 10. 2.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16. 부동산 시장 문제. 부동산 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부동산은 대체가 불가능한 재화이기에 부동산 시장에서 공매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② 부동산 시장이 강성 효율적 시장일 때 초과이윤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③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유형, 규모, 품질 등에 따라 구별되는 하위시장이 존재한다. ④ 부동산시장이 준강성 효율적 시장일 때 새로운 정보는 공개되는 즉시 시장에 반영된다. ⑤ 부동산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이더라도 할당 효율적 시장이 될 수 있다. 정답. ① 해설. 부동산은 대체가 불가능한 재화이기에 부동산 시장에서 공매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은 잘못된 지문입니다. 이론. [이론]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1. 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시장이란 매수자와 매도자에 의해 재화.. 2021. 10. 2. [이론]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1. 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시장이란 매수자와 매도자에 의해 재화의 교환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을 말한다. 즉 어떤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가격이 결정되는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시장을 분류하는 방법도 다양한다. (1) 전국적 시장과 지역적 시장 전국을 단위로 형성되는 시장을 전국적 시장, 지역을 단위로 형성되는 시장을 지역적 시장이라고 한다. 부동산 시장은 부동산의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즉 부동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일정 지역에 국한되는 지역적 시장이다. (2) 구체적 시장과 추상적 시장 서울의 남대문시장이나 부산의 자갈치시장 등과 같이 특정한 장소를 통하여 교환이 이루어지는 시장을 구체적 시장이라고 하고 특정한 장소를 통하지 않고도 교환이 이루어지는 .. 2021. 10. 1. 이전 1 ··· 585 586 587 588 589 590 591 ··· 59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