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계산문제145 [2021년(32회)기출]부동산학개론 26. 입지계수(계산문제) 문제. 각 지역과 산업별 고용자수가 다음과 같을 때, A지역과 B지역에서 입지계수(LQ)에 따른 기반산업의 개수는?(단, 주어진 조건에 한하며, 결과 값은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함) ① A지역 : 0개, B지역 : 1개 ② A지역 : 1개, B지역 : 0개 ③ A지역 : 1개, B지역 : 1개 ④ A지역 : 1개, B지역 : 2개 ⑤ A지역 : 2개, B지역 : 1개 정답. ⑤ 해설. 입지계수에 관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입지계수를 각각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A 지역 2. B 지역 3. 기반산업 한 지역에서 입지계수가 1보다 크면 기반산업입니다. 따라서 A 지역에서 기반산업은 Y산업과 Z산업 2개 이고, B 지역에서 기반산업은 X산업 1개입니다. 이론. [이론]부동산 개발 1. 부동.. 2021. 11. 2. [2021년(32회)기출]부동산학개론 24. 투자분석기법(계산문제) 문제. 다음 표와 같은 투자사업(A~C)이 있다. 모두 사업기간이 1년이며, 사업 초기(1월 1일)에 현금지출만 발생하고 사업 말기(12월 31일)에는 현금유입만 발생한다고 한다. 할인율이 연 5%라고 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수익성지수(PI)가 가장 큰 사업은 A이다. ② 순현재가치(NPV)가 가장 큰 사업은 B이다. ③ 수익성지수가 가장 작은 사업은 C이다. ④ A의 순현재가치는 B의 순현재가치의 2.5배이다. ⑤ A와 C의 순현재가치는 같다. 정답. ⑤ 해설. 순현재가치와 수익성지수를 구해야 하므로 일단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수익성지수(PI)가 가장 큰 사업은 C [A]이다. ② 순현재가치(NPV)가 가장 큰 사업은 A와 C [B]이다. ③ 수익성지수가 가장 작은 사업은 A [C]이다... 2021. 11. 1. [2021년(32회)기출]부동산학개론 19. 순현재가치(계산문제) 문제. 다음은 투자부동산의 매입, 운영 및 매각에 따른 현금흐름이다. 이에 기초한 순현재가치는? (단, 0년 차 현금흐름은 초기 투자액, 1년 차부터 7년 차까지 현금흐름은 현금유입과 유출을 감안한 순현금흐름이며, 기간이 7년인 연금의 현가 계수는 3.50, 7년 일시불의 현가 계수는 0.60이고, 주어진 조건에 한함) ① 100만 원 ② 120만 원 ③ 140만 원 ④ 160만 원 ⑤ 180만 원 정답. ① 해설. 연금과 일시불의 현가 계수를 알려줬으므로 현재가치로 할인하면 됩니다. 7기의 경우 1,420이 유입되는데 이것은 (1,300+120)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그렇게 하면 7년간 연금 120과 7년째에만 일시불 1,300이 유입되는 것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1. 7년간 120 연금의 현재가치.. 2021. 11. 1. [2021년(32회)기출]부동산학개론 12. 컨버스의 분기점 모형(계산문제) 문제. 컨버스의 분기점 모형에 기초할 때, A시와 B시의 상권 경계지점은 A시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진 지점인가? ○ A시와 B시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 A시 인구 : 64만명 ○ B시 인구 : 16만명 ○ A시와 B시 사이의 직선거리 : 30km ① 5km ② 10km ③ 15km ④ 20km ⑤ 25km 정답. ④ 해설. 컨버스의 분기점 모형에 관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A시로부터 20km 떨어진 지점입니다. 이론. [이론]상업 입지 1. 상권 (1) 상권의 의의 상권은 점포의 매출이 발생하는 구역을 정의하는 공간 개념이다. 흔히 시장 지역, 고객이 존재하는 배후지라고도 하는데 상업지역의 입지조건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hypers84.tistory.com 2021. 11. 1.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