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추가 정보/부동산학개론 이론73

[이론]부동산 조세정책 1. 우리나라의 부동산 조세정책 ​ 현행 우리나라의 부동산 관련 조세제도는 국세 기본법, 국세 징수법, 조세특례 제한법 등과 같은 여러 조세에 공통되는 조세 기본 법령과 부동산의 취득과 관련된 취득세, 상속세, 증여세 제도, 부동산 보유와 관련된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제도, 양도와 관련된 양도소득세, 법인세 제도 등이 있다. 이러한 부동산과 관련된 각종 조세제도는 부동산 시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취득세를 감면은 부동산을 취득 시 비용이 감소하므로 수요가 증가하여 거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종합부동산세는 국세이고, 재산세는 지방세인데 이 둘은 모두 보유단계에서 부과하는 조세이다. 2. 양도소득세와 동결 효과 ​ 양도소득세의 중과는 부동산 보유자로 하여금 거래를 뒤로 미루게 하는 동결 효과를.. 2021. 10. 2.
[이론]부동산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변화 요인 1.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의 변화 요인 ① 수요의 증가 요인 ​ 인구의 증가, 소득 수준의 향상, 기호도(선호도, 취향)의 향상, 대체재의 가격 상승, 보완재의 가격 하락, 금리(이자율)의 인하, 조세(세율)의 인하, 공법상의 규제 완화,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의 고조, 핵가족화, 가구 분리, 세대수 증가, 매수자 수의 증가, 대체투자 대상의 수익률 악화, 인플레이션 심리 확산, 주택 매매시장이 이용 의식에서 소유 의식으로 의식 변화, 대부 비율(LTV)의 상승, 총부채상환비율(DTI)의 상승 ​ ② 수요의 감소 요인 ​ 인구의 감소, 소득수준의 감소, 기호도(선호도, 취향)의 감소, 대체재의 가격 하락, 보완재의 가격 상승, 금리(이자율)의 인상, 조세(세율)의 인상, 공법상의 규제 강화, 대체투자 .. 2021. 10. 2.
[이론]STP전략 STP 전략은 시장 세분화, 목표시장(표적 시장) 선정, 차별화를 통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고전적인 마케팅 전략이다. ​ 1.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전략 : 수요자 집단을 인구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서 세분하고 그 세분된 시장을 대상으로 상품의 판매 지향점을 분명히 하는 전략을 말한다. ​ 2. 목표시장(표적 시장) 선정(Targeting) 전략 : 세분화된 수요자 집단에서 경쟁상황과 자신의 능력을 고려하여 가장 자신 있는 수요자 집단을 찾아내는 전략을 말한다. ​ 3. 차별화(Positioning) 전략 : 동일한 표적 시장을 갖는 다양한 공급 경쟁자들 사이에서 자신의 상품을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가를 정하는 전략으로 공급되는 제품을 차별화하는 전략을 말한다. 2021. 10. 2.
[이론]입지 이론(공업입지이론, 상업입지이론) 1. 공업입지 이론 ​ ① 베버의 최소비용 이론 ​ 독일의 경제학자인 베버는 비용 최소화의 원리에 입각하여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지점, 즉 최소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을 최적의 공업입지라고 하면서 공업입지에 관한 이론을 처음으로 체계화하였다. 이를 최소비용 이론이라고 한다. ​ ㉠ 가정 ​​ 베버는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 ⓐ 기후나 지형, 경제, 기술 조직 등은 모든 지역이 동일하다. ⓑ 원료 산지와 소비시장은 일정한 곳에 고정되어 있다. ⓒ 수송비는 원료와 제품의 무게와 수송되는 거리에 비례한다. ⓓ 노동력은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있고 비 이동적이나 공급은 무제한이다. ⓔ 임금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생산자는 합리적인 경제인이다. ​ ㉡.. 2021. 10.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