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추가 정보/부동산학개론 이론73

[이론]지대 및 지가이론 1. 지대 및 지가 (1) 지대 및 지가의 의의 지대란 일정기간 동안 토지의 사용, 수익에 대한 대가를 의미하므로 유량의 개념이다. 이러한 지대는 토지뿐만 아니라 공급이 고정된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를 총칭하는 것으로 토지와 같이 공급이 고정된 생산요소가 생산과정에서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지불되는 보수를 의미한다. 지가란 일정 시점에서 토지의 교환에 대한 대가를 의미하므로 저량의 개념이다. (2) 지대와 지가의 관계 매년마다 일정 금액의 지대가 영구히 발생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러한 지대를 할인율로 할인한 값, 즉 지대의 현재가치가 지가가 된다. 따라서 지대와 지가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때 할인율은 투자자의 요구수익률을 사용한다. 지대가 상승하면 지가는 상승하고 지대가 하락하.. 2021. 10. 1.
[이론]부동산 경기변동 1. 부동산 경기 (1)부동산 경기의 의의 일반적으로 부동산 경기란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를 말한다. 이러한 부동산 경기를 협의, 광의, 최광의의 부동산 경기로 구분하기도 한다. 협의의 부동산 경기 :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 광의의 부동산 경기 :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와 상, 공업용 부동산의 건축경기를 합한 것 최광의의 부동산 경기 :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와 상, 공업용 부동산의 건축경기, 토지 경기를 모두 합한 것 (2) 부동산 경기의 구성요인 일반 경기와 마찬가지로 부동산 경기를 구성하고 있는 시계열 자료에는 추세(장기) 변동, 순환변동, 계절변동, 불규칙(무작위, 우발적) 변동 등의 요인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순환적 변동과 비순환적 변동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추세 변동과 계절변동, 불규.. 2021. 10. 1.
[이론]거미집 이론 1. 거미집 이론의 의의 및 가정 (1) 거미집 이론의 의의 에치켈의 거미집 이론은 공급의 시차를 이용하여 시장 균형의 동태적 안정성을 설명하려 한 동태(정태X)이론이다. 수요와 공급이 가격 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변동하는 것과는 달리 수요는 가격 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변동하나 공급은 한 기간 늦게 변동할 때의 가격결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따라서 거미집 이론은 시간 개념을 도입한 동태 이론의 한 예이고 농산물이나 부동산처럼 공급의 시차가 존재하는 상품에 적용할 수 있다. (2) 거미집이론의 가정 거미집 이론은 다음 3가지 조건을 가정하고 있다. 수요(량)은 현재 시점, 즉 금기의 가격을 즉시 반영한다. 따라서 현재 시점의 가격에 의해 현재 시점의 수요(량)가 결정된다. 공급(량)은 지난 시점, 즉 전.. 2021. 10. 1.
[이론]유량과 저량 경제학에서는 일정기간을 명시하여야 측정되는 변수를 유량이라고 하고 일정시점에서 측정 할 수 있는 변수를 저량이라고 한다. 유량과 저량의 개념은 흔히 저수지와 비교된다. 저수지에서 흘러나온 물이나 저수지로 흘러 들어가는 물은 유량이고 저수지에 고여 잇는 물은 저량이다. 1. 유량 유량이란 일정한 기간을 정해야 측정이 가능한 개념을 말한다. 이러한 유량의 예는 다음과 같다. GDP 국제수지 수출액 수입액 임료 지대 월급여 연봉 순 영업소득(NOI) 당기순이익 이자비용 신규주택 공급량(앞으로 일정한 기간동안 공급될 양) 2. 저량 저량이란 일정한 시점에서만 측정이 가능한 개념을 말한다. 이러한 저량의 예는 다음과 같다. 통화량 노동량 자본량 국부 외채 외환보유고 가격 지가 자산의 가치 부채 인구수 주택 재고량.. 2021. 10.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