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아파트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공급이 증가할 때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가격이 더 내린다.
②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소득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이다.
③ 수요가 증가할 때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가격은 더 오른다.
④ 공급이 가격에 대해 완전 비탄력적일 때 수요가 증가해도 가격은 변하지 않는다.
⑤ 수요가 가격에 대해 완전 탄력적일 때 공급이 증가해도 가격은 변하지 않는다.
문제. 주거서비스의 공급곡선이 임대료에 대해 완전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현재의 임대료 하에서 초과수요가 존재한다면, 균형 임대료와 균형 거래량은 각각 어떻게 변할까?
① 균형 임대료 상승, 균형 거래량 감소
② 균형 임대료 상승, 균형 거래량 변화 없음
③ 균형 임대료 하락, 균형 거래량 증가
④ 균형 임대료 하락, 균형 거래량 변화 없음
⑤ 균형 임대료 변화 없음, 균형 거래량 변화 없음
문제. 주거서비스 공급의 임대료 탄력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용도 전환이 용이할수록 공급의 임대료 탄력성은 더 비탄력적이다.
② 생산(공급)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수록 공급의 임대료 탄력성은 더 비탄력적이다.
③ 단기 공급의 임대료 탄력성은 장기공급의 임대료 탄력성보다 더 비탄력적이다.
④ 건축 인, 허가가 어려울수록 공급의 임대료 탄력성은 더 비탄력적이다.
⑤ 생산량을 늘릴 때 생산요소 가격이 상승할수록 공급의 임대료 탄력성은 더 비탄력적이다.
문제. 소득이 10% 증가하자 어떤 부동산의 수요량이 8% 증가하였다. 이 사실을 통해 볼 때, 이 부동산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① 정상재
② 보완재
③ 대체재
④ 열등재
⑤ 독립재
문제. 부동산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어느 부동산과 밀접한 대체재가 시장에 출현한다면, 그 부동산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은 이전보다 더 커진다.
②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가격이 변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정성적 지표이다.
③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 보다 큰 경우 임대료가 상승하면, 임대업자의 임대료 수입은 감소한다.
④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단기에 비해 장기에 더 탄력적이다.
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 탄력적인 경우에 공급이 증가하면, 균형 임대료는 변화하지 않지만 균형 거래량은 증가한다.
문제.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소형 아파트의 임대료가 10% 상승함에 따라 소형 아파트의 임대 수요량은 5% 감소한 반면 오피스텔의 수요는 7% 증가했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소형아파트 수요의 가격탄력성 : ( ㄱ ) ○ 소형아파트와 오피스텔의 관계 : ( ㄴ ) |
① ㄱ - 탄력적, ㄴ - 보완재
② ㄱ - 비탄력적, ㄴ - 보완재
③ ㄱ - 단위 탄력적, ㄴ - 대체재
④ ㄱ - 탄력적, ㄴ - 대체재
⑤ ㄱ - 비탄력적, ㄴ - 대체재
문제. 부동산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부동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주거용 부동산에 비해 특정 입지조건을 요구하는 공업용 부동산에서 더 탄력적이다.
② 부동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대체제의 존재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③ 부동산의 용도전환이 용이하면 할수록 부동산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커진다.
④ 부동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단기에서 장기로 갈수록 탄력적으로 변하게 된다.
⑤ 부동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부동산을 지역별, 용도별로 세분할 경우 달라질 수 있다.
문제.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따른 수요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급이 가격에 대해 완전 탄력적인 경우, 수요가 증가하면 균형 가격은 상승하고 균형 거래량은 감소한다.
② 공급이 가격에 대해 완전 탄력적인 경우, 수요가 증가하면 균형 가격은 변하지 않고 균형 거래량만 증가한다.
③ 공급이 가격에 대해 완전 비탄력적인 경우, 수요가 증가하면 균형 가격은 하락하고 균형 거래량은 변하지 않는다.
④ 공급이 가격에 대해 완전 비탄력적인 경우, 수요가 증가하면 균형 가격은 상승하고 균형 거래량도 증가한다.
⑤ 공급이 가격에 대해 완전 비탄력적인 경우, 수요가 증가하면 균형 가격은 변하지 않고 균형 거래량만 증가한다.
문제. A 부동산의 가격이 5% 상승할 때, B 부동산의 수요는 10% 증가하고 C 부동산의 수요는 5% 감소한다. A와 B, A와 C의 관계는?
① A와 B의 관계 : 대체재, A와 C의 관계 : 보완재
② A와 B의 관계 : 대체재, A와 C의 관계 : 열등재
③ A와 B의 관계 : 보완재, A와 C의 관계 : 대체재
④ A와 B의 관계 : 열등재, A와 C의 관계 : 정상재
⑤ A와 B의 관계 : 정상재, A와 C의 관계 : 열등재
문제. 주택구입에 대한 거래세 인상에 따른 경제적 후생의 변화로 틀린 것은?
① 수요곡선이 공급곡선에 비해 더 탄력적이면 수요자에 비해 공급자의 부담이 더 커진다.
② 공급곡선이 수요곡선에 비해 더 탄력적이면 공급자에 비해 수요자의 부담이 더 커진다.
③ 수요자가 실질적으로 지불하는 금액이 상승하므로 소비자 잉여는 감소한다.
④ 공급자가 받는 가격이 하락하므로 생산자 잉여는 감소한다.
⑤ 거래세 인상에 의한 세수입 증가분은 정부에 귀속되므로 경제적 순손실을 발생하지 않는다.
문제.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미세한 가격 변화에 수요량이 무한히 크게 변화하는 경우 완전 탄력적이다.
② 대체재의 존재 여부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③ 일반적으로 부동산 수요에 대한 관찰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아진다.
④ 일반적으로 재화의 용도가 다양할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커진다.
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라는 것은 가격의 변화율에 비해 수요량의 변화율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을 경우 전체 수입은 임대료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한다.
② 대체재가 있는 경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대체재가 없는 경우보다 비탄력적이 된다.
③ 우하향한 선분으로 주어진 수요곡선의 경우 수요곡선상의 측정지점에 따라 가격탄력성은 다른다.
④ 일반적으로 부동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단기에서 장기로 갈수록 더 비탄력적이 된다.
⑤ 부동산의 용도전환이 용이할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아지다.
문제. 부동산 매매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 탄력적이면 가격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수요량이 고정된다.
②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0이면 완전 비탄력적이다.
③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면 가격의 변화율보다 수요량의 변화율이 더 작다.
④ 수요곡선이 수직선이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완전 비탄력적이다.
⑤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이면 가격의 변화율보다 공급량의 변화율이 더 크다.
문제. 부동산에 관한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 탄력적일 때 수요가 증가할 경우 균형 가격은 변하지 않는다.
② 오피스텔에 대한 대체재가 감소함에 따라 오피스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아진다.
③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수요의 가격탄력성보다 작은 경우 공급자가 수요자보다 세금 부담이 더 크다.
④ 임대주택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인 경우 임대주택의 임대료가 하락하더라도 전체 임대료 수입은 변하지 않는다.
⑤ 일반적으로 임대주택을 건축하여 공급하는 기간이 짧을수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커진다.
문제.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수요량의 변화율에 대한 가격의 변화율을 측정한 것이다.
②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 비탄력적이면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이 무한대로 변화한다.
③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라면 수요량의 변화율이 가격의 변화율보다 더 크다.
④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이라면 가격의 변화율보다 공급의 변화율이 더 크다.
⑤ 공급곡선이 수직선이면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완전 탄력적이다.
'단원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경기변동(경기변동) (0) | 2021.11.18 |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수요와 공급(유량과 저량)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수요와 공급(수요와 공급)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총론(주택의 분류)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총론(표준산업분류)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