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주택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립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이다.
② 다가구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 제외)가 3개 층 이하이며, 1개 동의 바닥면적(부설주차장 면적 제외)이 330㎡ 이하인 공동주택이다.
③ 다세대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30㎡ 이하이고 층수가 5개 층 이하인 주택이다.
④ 다중주택은 학생 또는 직장인 등 다수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서, 독립된 주거형태가 아니며 연면적이 660㎡ 이하, 층수가 3개 이하인 주택이다.
⑤ 도시형 생활주택은 35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로 대통령령으로 정 한 주택으로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 등이 있다.
문제. 다음 법률적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은?
○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 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가 3개 층 이하일 것 ○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함) ○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
① 연립주택
② 다중주택
③ 다가구주택
④ 다세대주택
⑤ 기숙사
문제. 다중주택의 요건이 아닌 것은?
①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은 제외한다)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일 것
②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않은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③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1개 동의 공동취사시설 이용 세대 수가 전체의 50퍼센트 이상인 것
④ 적정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건축조례로 정하는 실별 최소 면적, 창문의 설치 및 크기 등의 기준에 적합할 것
⑤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단원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수요와 공급(탄력성) (0) | 2021.11.18 |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수요와 공급(수요와 공급)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총론(표준산업분류)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총론(부동산의 분류) (0) | 2021.11.18 |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총론(부동산 중개)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