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원별 기출문제/부동산학개론

[단원별 기출문제 해설]부동산학개론 - 부동산 총론(주택의 분류)

by 기출문제 전문가 2021. 11. 18.
728x90
반응형

문제. 주택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립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이다.

② 다가구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 제외)가 3개 층 이하이며, 1개 동의 바닥면적(부설주차장 면적 제외)이 330㎡ 이하인 공동주택이다.

③ 다세대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30㎡ 이하이고 층수가 5개 층 이하인 주택이다.

④ 다중주택은 학생 또는 직장인 등 다수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서, 독립된 주거형태가 아니며 연면적이 660㎡ 이하, 층수가 3개 이하인 주택이다.

⑤ 도시형 생활주택은 35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로 대통령령으로 정 한 주택으로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 등이 있다.

 

[2014기출]부동산학개론 4. 주택의 유형

문제. 주택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립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이다. ② 다가구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

hypers84.tistory.com


문제. 다음 법률적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은?

 

○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 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가 3개 층 이하일 것
○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함)
○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① 연립주택 

② 다중주택

③ 다가구주택

④ 다세대주택

⑤ 기숙사

 

[2017기출]부동산학개론 6. 다중주택

문제. 다음 법률적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은? ○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30㎡ 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가 3개 층 이하일 것 ○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hypers84.tistory.com


문제. 다중주택의 요건이 아닌 것은?

 

①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은 제외한다)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일 것

②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않은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③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1개 동의 공동취사시설 이용 세대 수가 전체의 50퍼센트 이상인 것

④ 적정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건축조례로 정하는 실별 최소 면적, 창문의 설치 및 크기 등의 기준에 적합할 것

⑤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2021년(32회)기출]부동산학개론 2. 다중주택

문제. 다중주택의 요건이 아닌 것은? ①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은 제외한다)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

hypers84.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