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폐의 시간가치
(1) 의의
투자란 확실한 현재의 소비를 희생하여 불확실한 미래의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로 불확실한 미래의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지출을 하게 된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비용과 편익을 분석하여야 하는데 현금유출은 현재 시점에서 발생되지만 현금유입은 미래 시점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시점 간 불일치가 발생한다. 현금유입과 현금유출의 시점을 동일한 상태에서 비교하여 투자 결정을 하여야 하므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2) 주요 용어
①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 현재 가치란 현재 시점에서의 가치를, 미래가치란 미래의 일정 시점에서의 가치를 말한다. 즉 미래가치란 현재의 일정 금액과 교환될 수 있는 미래의 일정 시점의 금액을 말하는 것이다.
② 이자율 : 현재가치와 미래가치를 같도록 만들어 주는 비율을 이자율이라고 하고 일반적으로 r로 표현한다. 현재 가치를 미래 가치로 계산할 경우에는 이자를 가산해야 하므로 금액은 커진다. 이를 할증한다라 표현하고 이때 적용되는 이자율을 수익률이라고도 한다.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계산할 경우에는 이자를 차감하여야 하므로 금액은 작아진다. 이를 할인한다라 표현하고 이때 적용되는 이자율을 할인율이라고 한다. 화폐의 시간가치를 활용하여 미래가치나 현재가치를 계산할 때에는 복리 방식의 이자율을 적용한다.
③ 기간 : 미래가치나 현재가치를 계산할 때에는 기간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때 기간은 연 단위, 반기 단위, 분기 단위, 월 단위, 일 단위 등이 있는데 주로 연 단위와 월 단위가 많이 활용되고 연 단위일 경우 일반적으로 n으로 표현한다. 결국 화폐의 시간가치와 관련된 계수 값들은 이자율과 기간에 의해서 결정된다.
④ 일시불과 연금 : 투자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일시에 지불하거나 지불받는 것을 일시불이라고 하고 투자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매기마다 지불하거나 지불받는 것을 연금이라고 한다. 별도의 가정이 없는 한 기말 불입과 기말 수령을 가정한다.
2. 미래가치
미래가치를 계산하는 공식에는 일시불의 미래가치 계수, 연금의 미래가치 계수, 감채기금 계수 등이 있다.
(1) 일시불의 미래가치
일시불의 미래가치란 현재의 일정 금액을 미래 일정 시점의 가치로 환산한 금액을 말한다. 일시불의 미래가치의 대표적인 사례로 정기예금 만기 시 원리금의 합계액을 들 수 있다. 일시불의 미래가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본 환원 계수는 일시불의 미래가치 계수인데 이를 간단히 일시불의 내가 계수라고 표현한다. 일시불의 미래가치를 계산하는 산식은 다음과 같다.
(2) 연금의 미래가치
연금의 미래가치란 일정한 현금흐름이 정기적으로 발생할 경우 미래의 일정 시점에서 이러한 현금흐름들이 가지는 가치의 크기를 말한다. 즉 매년 1원씩 받게 되는 연금의 이자율을 r로 계속해서 적립했을 때 n 년 후에 달성하게 되는 금액을 말한다. 연금의 미래가치의 대표적인 사례로 정기적금 만기 시 원리금의 합계액을 들 수 있다. 연금의 미래가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본 환원 계수는 연금의 미래가치 계수인데 이를 간단히 연금의 내가 계수라고 표현한다. 연금의 미래가치를 계산하는 산식은 다음과 같다.
(3) 감채기금 계수
감채기금 계수란 복리로 n 년 동안 증식한 미래의 1원을 위해 매기마다 적립해야 할 금액을 구할 경우에 사용하는 자본 환원 계수를 말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정기적금의 매기 적립액을 계산할 경우를 들 수 있다. 적립액을 계산하는 산식은 다음과 같다.
3. 현재가치
현재가치를 계산하는 공식에는 일시불의 현재가치 계수, 연금의 현재가치 계수, 저당 상수 등이 있다.
(1) 일시불의 현재가치
일시불의 현재 가치란 미래 발생될 일정 금액을 현재 시점의 가치로 환산한 금액을 말한다. 일시불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본 환원 계수는 일시불의 현재가치 계수인데 이를 간단히 일시불의 현가 계수라고 표현한다. 일시불의 현재가치를 계산하는 산식은 다음과 같다.
(2) 연금의 현재가치
연금의 현재 가치란 매년 1원씩 n 년 동안 적립할 경우 받게 될 금액을 일시불로 환원한 액수로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방식에 의한 대출금을 의미한다. 연금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본 환원 계수는 연금의 현재가치 계수인데 이를 간단히 연금의 현가 계수라 표현한다. 연금의 현재가치를 계산하는 산식은 다음과 같다.
(3) 저당 상수
저당 상수란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방식에 의한 대출금의 매기 상환액을 구할 경우에 사용하는 자본 환원 계수를 말한다. 상환액을 계산하는 산식은 다음과 같다.
4. 잔금비율과 상환비율
(1) 잔금비율
① 잔금 : 저당 대출액 중 미상환된 원금
② 잔금비율 : 저당 대출액(융자액)에 대한 미상환된 원금(잔금)의 비율
(2) 상환비율
① 상환비율 : 저당 대출액에 대한 상환된 원금의 비율
'추가 정보 > 부동산학개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주택 연금 (0) | 2021.10.03 |
---|---|
[이론]부동산 유동화 제도 (0) | 2021.10.03 |
[이론]부동산 투자와 투기 (1) | 2021.10.03 |
[이론]자본환원율 (0) | 2021.10.03 |
[이론]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부동산 제도와 시행되지 않는 부동산 제도 (0) | 2021.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