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44. 지적법령상 토지이동신청 특례 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하여 사업의 착수신고가 된 토지는 그 사업이 완료되는 때까지 사업시행자외의 자가 토지의 이동을 신청할 수 없다.
② 농어촌정비사업으로 인하여 토지의 이동이 있는 때에는 그 사업시행자가 소관청에 그 이동을 신청하여야 한다.
③ 주택법에 의한 공동주택의 부지를 지목변경하는 경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관리인이토지소유자의 신청을 대위할 수 있다.
④ 소관청이 지적측량적부(재)심사 의결서 사본을 송부받아 그 내용에 따라 지적공부의 경계를 정정하는 경우에는 이해관계인의 승낙서를 받아야 한다.
⑤ 주택법의 규정에 의한 주택건설사업의 시행자가 파산으로 토지의 이동을 신청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주택의 시공을 보증한 자 또는 입주예정자 등이 신청할 수 있다.
정답. ④
해설.
소관청이 지적측량적부(재)심사 의결서 사본을 송부받아 그 내용에 따라 지적공부의 경계를 정정하는 경우에는 이해관계인의 승낙서를 받을 필요가 없다. (지적측량심사청구인과 이해관계인은 의결서를 통지받고 재심사를 청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승낙서를 받을 필요가 없음)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공시법 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회(2006년)기출]공시세법 46. 지적측량 (0) | 2023.03.14 |
---|---|
[17회(2006년)기출]공시세법 45. 지적측량 손해배상금 (0) | 2023.03.14 |
[17회(2006년)기출]공시세법 43. 지목의 설정 (0) | 2023.03.14 |
[17회(2006년)기출]공시세법 42. 토지의 표시 (0) | 2023.03.14 |
[17회(2006년)기출]공시세법 41. 용어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