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수익성 지수(Profit Index) 법에 의한 부동산 사업의 투자분석으로 틀린 것은?(단, 사업기간은 모두 1년, 할인율은 연 10%이며, 주어진 조건에 한함)
사업 | 현금지출(2013.1.1) | 현금유입(2013.12.31) |
A | 100만원 | 121만원 |
B | 120만원 | 130만원 |
C | 150만원 | 180만원 |
D | 170만원 | 200만원 |
① A 사업은 B 사업의 수익성지수보다 크다.
② C 사업은 D 사업의 수익성지수보다 크다.
③ A 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는 A와 B 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성지수가 더 크다.
④ D 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는 C와 D 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성지수가 더 크다.
⑤ 수익성 지수가 가장 작은 사업은 B이다.
정답. ④
해설.
우선 각각의 수익성 지수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 숫자가 매우 더티하네요..... 이건 약간 해석이 필요해서 지문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① A 사업은 1.1이고, B 사업은 0.98이므로 A가 크다는 지문은 옳은 지문입니다.
② C사업은 1.09이고, D사업은 1.07이므로 C가 크다는 지문은 옳은 지문입니다.
③ A 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는 A와 B 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성지수가 더 크다. 함께 투자한다면 각 투자 안의 가중평균이 되므로 수익성지수는 단일 A를 투자하는 것이 1.1이 될 것이고 A, B를 같이 투자하는 경우 수익성 지수는 0.98에서 1.1 사이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옳은 지문입니다.
④ D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는 C와 D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성지수가 더 작다. 3번 문제와 같이 단일 D만 투자하는 것은 1.07이 될 것이고, C와 D를 같이 투자하는 경우 수익성 지수는 1.07에서 1.09 사이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더 작을 것이므로 틀린 지문입니다.
⑤ 수익성 지수가 가장 작은 사업은 B가 0.98로 옳은 지문입니다.
이론.
'개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기출]부동산학개론 35. 표준지공시지가 (0) | 2021.10.25 |
---|---|
[2014기출]부동산학개론 34. 단독주택가격의 공시 (0) | 2021.10.25 |
[2014기출]부동산학개론 32. 주택금융 (0) | 2021.10.25 |
[2014기출]부동산학개론 31. 부동산투자회사 (1) | 2021.10.25 |
[2014기출]부동산학개론 30. 세후현금수지(계산문제)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