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별 기출문제/공시법 세법

[29회(2018년)기출]공시세법 26.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by 기출문제 전문가 2023. 1. 5.
728x90
반응형

26. 거주자 甲은 A주택을 3년간 소유하며 직접 거주하고 있다. 甲이 A주택에 대하여 납부하게 되는 2018년 귀속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甲은 종합부동산세법상 납세의무자로서 만61세이며 1세대 1주택자라 가정함)

 

①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의 과세기준일은 매년 6 1일이다.

② 甲의 고령자 세액공제액은 종합부동산세법에 따라 산출된 세액에 100분의 10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③ 재산세 납부세액이 600만원인 경우, 100만원은 납부기한이 지난 날부터 2개월 이내에 분납할 수 있다.

④ 재산세 산출세액은 지방세법령에 따라 계산한 직전 연도 해당 재산에 대한 재산세액 상당액의 100분의 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한도로 한다.

⑤ 만약 甲이 A주택을「신탁법」에 따라 수탁자 명의로 신탁등기하게 하는 경우로서 A주택이 위탁자별로 구분된 재산이라면, 수탁자를 재산세 납세의무자로 본다.


정답. ④


해설.

 

재산세 산출세액은 지방세법령에 따라 계산한 직전 연도 해당 재산에 대한 재산세액 상당액의 100분의 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한도로 한다. 다만, 주택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주택공시가격 또는 시장 공시가액이 3억 이하인 경우 100분의 105, 3억 초과 6억 이하인 경우 100분의 110, 6억 초과인 경우 100분의 130을 한도로 한다. 

 

위 문제는 주택이므로 주택의 한도를 적용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