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별 기출문제/민법

[15회 추가(2005년)기출]민법 46. 반사회적 법률행위

by 기출문제 전문가 2021. 12. 13.
728x90
반응형


46. 반사회적 법률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반사회적 법률행위의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첩계약의 대가로 아파트 소유권을 이전하여 주었다면 부당이득을 이유로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반사회적 법률행위는 당사자가 무효인 줄 알고 추인하면 새로운 법률행위로서 유효하게 된다.

 명의수탁자가 신탁재산을 처분하는 경우에는 그 매수인이 수탁자의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하더라도 그 처분행위는 유효하다.

 강제집행을 면할 목적으로 부동산에 허위의 근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하는 행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반사회적 법률행위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답. ⑤


해설.

 

 반사회적 법률행위의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

 

 첩계약의 대가로 아파트 소유권을 이전하여 주었다면 부당이득을 이유로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반사회적 법률행위는 당사자가 무효인 줄 알고 추인해도 무효이다.

 

 명의수탁자가 신탁재산을 처분하는 경우에는 그 매수인이 수탁자의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하면 그 처분행위는 무효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