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 주택 임대차보호법의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최선순위 전세권자로서의 지위와 대항력을 갖춘 주택임차인으로서의 지위를 함께 가진 자가 전세권자의 지위에서 경매를 신청한 경우에는 임차권의 대항력을 주장할 수 없다.
② 주택임차인과 전세권자의 지위를 함께 가지는 자가 임차인의 지위에서 경매법원에 배당요구를 하였다면 전세권에 관해서도 함께 배당요구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③ 대항력 있는 주택임차권과 분리하여 보증금반환채권만을 양수한 자도, 임차주택에 대한 경매절차에서 임차보증금 우선변제권자의 지위에서 배당요구를 할 수 있다.
④ 대항요건 및 확정일자를 갖춘 주택임차권자는 임대차 성립 당시 임대인 소유였던 대지가 타인에게 양도되어 임차주택과 대지 소유자가 달라지더라도, 대지의 환가대금에 대해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⑤ 주택임차인이 사망한 경우,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던 사실혼배우자는 항상 상속권자에 우선하여 사망한 임차인의 권리, 의무를 승계한다.
정답. ④
해설.
① 최선순위 전세권자로서의 지위와 대항력을 갖춘 주택임차인으로서의 지위를 함께 가진 자가 전세권자의 지위에서 경매를 신청한 경우에는 임차권의 대항력을 주장할 수 있다.
② 주택임차인과 전세권자의 지위를 함께 가지는 자가 임차인의 지위에서 경매법원에 배당요구를 하였다면 전세권에 관해서도 함께 배당요구를 한 것으로 보지 않는다.
③ 대항력 있는 주택임차권과 분리하여 보증금반환채권만을 양수한 자는, 임차주택에 대한 경매절차에서 임차보증금 우선변제권자의 지위에서 배당요구를 할 수 없다.
⑤ 주택임차인이 사망한 경우,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던 사실혼배우자는 항상 상속권자에 우선하여 사망한 임차인의 권리, 의무를 승계하지 못한다.
'개별 기출문제 >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회(2012년)기출]민법 79. 명의신탁약정 (0) | 2021.12.02 |
---|---|
[23회(2012년)기출]민법 78. 가등기담보 (0) | 2021.12.02 |
[23회(2012년)기출]민법 76.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0) | 2021.12.02 |
[23회(2012년)기출]민법 75. 주택 임대차보호법 (0) | 2021.12.02 |
[23회(2012년)기출]민법 74. 임대차 계약 (0) | 202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