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2. 저당권의 성립 및 효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장래의 특정한 채권은 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이 될 수 있다.
② 물상대위권 행사를 위한 압류는 그 권리를 행사하는 저당권자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③ 저당부동산에 대해 지상권을 취득한 제3자는 저당권자에게 피담보채권을 변제하고 저당권의 소멸을 청구할 수 있다.
④ 건물의 증축비용을 투자한 자가 그 대가로 건물에 대한 공유지분이전등기를 경료받은 경우, 저당권이 실행되더라도 매수대금에서 우선상환을 받을 수 없다.
⑤ 저당권이 설정된 나대지에 건물이 축조된 경우, 토지와 건물이 일괄경매되더라도 저당권자는 그 건물의 매수대금으로부터 우선변제 받을 수 없다.
정답. ②
해설.
물상대위권 행사를 위한 압류는 그 권리를 행사하는 저당권자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은 아니다.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회(2012년)기출]민법 54. 물권적 청구권 (0) | 2021.12.02 |
---|---|
[23회(2012년)기출]민법 53. 근저당권 (0) | 2021.12.02 |
[23회(2012년)기출]민법 51. 지역권 (0) | 2021.12.02 |
[23회(2012년)기출]민법 50. 무효 (0) | 2021.12.02 |
[23회(2012년)기출]민법 49. 의사표시 (0) | 202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