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공인중개사2371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16. 입지계수(계산문제) 문제. 각 지역과 산업별 고용자수가 다음과 같을 때, A 지역 X 산업과 B 지역 Y 산업의 입지계수(LQ)를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구분 A 지역 B 지역 전지역 고용자수 X 산업 고용자수 100 140 240 입지계수 ( ㄱ ) 1.17 Y 산업 고용자수 100 60 160 입지계수 1.25 ( ㄴ ) 고용자수 합계 200 200 400 ① ㄱ : 0.75, ㄴ : 0.83 ② ㄱ : 0.75, ㄴ : 1.33 ③ ㄱ : 0.83, ㄴ : 0.75 ④ ㄱ : 0.83, ㄴ : 1.20 ⑤ ㄱ : 0.83, ㄴ : 1.33 정답. ③ 해설. 1. 빨리 푸는 방법 위 문제의 경우 A 지역과 B 지역의 고용자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X 산업이나 Y 산업의 각 지역별 입지계수의 합은 2가 됩니다. 따라.. 2021. 10. 8.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15. 주택 여과 과정과 주거 분리 문제. 주택 여과 과정과 주거 분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택 여과 과정은 주택의 질적 변화와 가구의 이동과의 관계를 설명해 준다. ② 상위계층에서 사용되는 기존주택이 하위계층에서 사용되는 것을 상향 여과라 한다. ③ 공가의 발생은 주거지 이동과는 관계가 없다. ④ 주거 분리는 소득과 무관하게 주거지역이 지리적으로 나뉘는 현상이다. ⑤ 저급 주택이 수선되거나 재개발되어 상위계층에서 사용되는 것을 하향 여과라 한다. 정답. ① 해설. ① 맞는 지문입니다. ② 상위계층에서 사용되는 기존주택이 하위계층에서 사용되는 것을 상향 여과가 아니라 하향 여과라 합니다. ③ 공가의 발생은 주거지 이동과는 관계가 있습니다. ④ 주거 분리는 소득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 소득의 차이에 따라 주거지역.. 2021. 10. 7.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14. 도시 공간 구조 이론, 공업 입지 이론, 지대 이론 문제. 다음 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호이트에 의하면 도시는 전체적으로 원을 반영한 부채꼴 모양의 형상으로 그 핵심의 도심도 하나하나 교통의 선이 도심에서 방사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ㄴ. 뢰시는 수요 측면의 입장에서 기업은 시장 확대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ㄷ. 튀넨은 완전히 단절된 고립국을 가정하여 이곳의 작물 재배 활동은 생산비와 수송비를 반영하여 공간적으로 분화된다고 보았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정답. ⑤ 해설. 모두 맞는 지문입니다. 해설은 추가 이론으로 대체합니다. 이론. [이론]도시공간구조이론 1.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 (1) 동심원 이론의 의의 및 주요 내용 동심원 이론은 1920년대 미국.. 2021. 10. 7.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13. 허프의 모형 문제. 허프의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중력 모형을 활용하여 상권의 규모 또는 매장의 매출을 추정할 수 있다. ② 모형의 공간(거리) 마찰계수는 시장의 교통조건과 쇼핑 물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③ 모형을 적용하기 전에 공간(거리) 마찰계수가 먼저 정해져야 한다. ④ 교통조건이 나쁠 경우, 공간(거리) 마찰계수가 커지게 된다. ⑤ 전문품점의 경우는 일상 용품점보다 공간(거리) 마찰계수가 크다. 정답. ⑤ 해설. 전문품점의 경우 일상 용품점보다 공간(거리) 마찰계수가 작습니다. 공간(거리)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은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할 때 매장까지의 거리를 덜 신경 쓴다는 것입니다. 즉 멀어도 갈만한 유인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소비자는 전문품의 경우 기꺼이 멀리 .. 2021. 10. 7. 이전 1 ··· 569 570 571 572 573 574 575 ··· 59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