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감정평가이론상 감가 수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감정평가의 감가 수정은 취득원가에 대한 비용 배분의 개념이고, 회계 목적의 감가상각은 재조달원가를 기초로 적정한 가치를 산정하는 개념이다.
② 관찰 감가법은 감정평가사가 직접 관찰하여 감가액을 판정하므로 객관적이다.
③ 동일한 내용연수의 부동산이라도 건축방법, 관리 및 유지 상태 등에 따라 감가의 정도가 달라진다.
④ 정률법에 의한 연간 감가액은 일정하지만, 정액법에 의한 연간 감가액은 체감한다.
⑤ 경제적 감가요인에는 인근 지역의 쇠퇴, 설계의 불량, 설비의 부족 등이 있다.
정답. ③
해설.
① 회계 목적의 감가상각[감정평가의 감가 수정]은 취득원가에 대한 비용 배분의 개념이고, 감정평가의 감가 수정[회계 회계 목적의 감가상각]은 재조달원가를 기초로 적정한 가치를 산정하는 개념이다.
② 관찰 감가법은 감정평가사가 직접 관찰하여 감가액을 판정하므로 주관적 [객관적]이다.
④ 정액법[정률법]에 의한 연간 감가액은 일정하지만, 정률법[정액법]에 의한 연간 감가액은 체감한다.
⑤ 경제적 감가요인에는 인근 지역의 쇠퇴, 기능적 감가요인에는 설계의 불량, 설비의 부족 등이 있다.
이론.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년(18회)기출]부동산학개론 36. 감정평가 (0) | 2021.11.05 |
---|---|
[2007년(18회)기출]부동산학개론 35. 최대대출금액(계산문제) (0) | 2021.11.05 |
[2007년(18회)기출]부동산학개론 33. 부동산투자회사 (0) | 2021.11.05 |
[2007년(18회)기출]부동산학개론 32. 주택저당대출 상환방식 (0) | 2021.11.05 |
[2007년(18회)기출]부동산학개론 31. 한국주택금융공사 (0) | 2021.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