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9. 경정등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① 소유권이 이전된 후에도 종전 소유권에 대한 등기명의인의 표시경정등기를 할 수 있다.
② 부동산의 표시에 관한 경정등기에서는 등기상 이해관계있는 제3자의 승낙의 유무가 문제될 여지가 없다.
③ 등기사항의 일부가 부적법하게 된 경우에는 일부말소 의미의 경정등기를 할 수 없다.
④ 법인 아닌 사단이 법인화된 경우에는 등기명의인을 법인으로 경정하는 등기를 신청할 수 있다.
⑤ 법정상속분에 따라 상속등기를 마친 후에 공동상속인 중 1인에게 재산을 취득케 하는 상속재산분할협의를 한 경우에는 소유권경정등기를 할 수 없다.
정답. ②
해설.
① 소유권이 이전된 후에는 종전 소유권에 대한 등기명의인의 표시경정등기를 할 수 없다.
③ 등기사항의 일부가 부적법하게 된 경우에는 일부말소 의미의 경정등기를 할 수 있다.
④ 법인 아닌 사단이 법인화된 경우에는 등기명의인을 법인으로 경정하는 등기를 신청할 수 없다.
⑤ 법정상속분에 따라 상속등기를 마친 후에 공동상속인 중 1인에게 재산을 취득케 하는 상속재산분할협의를 한 경우에는 소유권경정등기를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공시법 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회(2008년)기출]공시세법 61. 검인 (0) | 2023.03.08 |
---|---|
[19회(2008년)기출]공시세법 60. 임차권등기 (0) | 2023.03.08 |
[19회(2008년)기출]공시세법 58. 소유권이전등기 (0) | 2023.03.08 |
[19회(2008년)기출]공시세법 57. 지역권 등기 (0) | 2023.03.08 |
[19회(2008년)기출]공시세법 56. 가등기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