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부동산 금융 및 투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프로젝트의 채무불이행위험이 높아질수록 대출기관이 요구하는 금리가 높아진다.
② 자본환원율은 자본의 기회비용과 프로젝트의 투자위험을 반영한다.
③ 분양형 개발사업의 핵심 상환재원은 준공 이후 발생하는 임대료, 관리비 등의 영업현금흐름이다.
④ 프로젝트는 자본시장 내 다른 투자수단들과 경쟁하므로 동일 위험 수준의 투자수익률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⑤ 자본환원율이 상승하면 부동산 자산의 가격이 하락 압력을 받으므로 신규 개발사업 추진이 어려워진다.
정답. ③
해설.
① 프로젝트의 채무불이행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은 위험이 커진다는 것으로 대출기관은 그만큼 위험에 대해 더 많은 보상을 요구하게 됩니다. 따라서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게 됩니다.
② 자본환원율은 무위험률과 프로젝트 위험률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본의 기회비용과 프로젝트의 투자위험을 반영하게 됩니다.
③ 분양형 개발사업의 핵심 상환재원은 준공 이후 발생하는 임대료, 관리비 등의 영업현금흐름이 아니라 준공 이전 발생하는 분양 수입입니다.
④ 프로젝트는 자본시장 내 다른 투자수단들과 경쟁하므로 장기적으로는 동일 위험 수준의 투자수익률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맞는 표현입니다.
⑤ 자본환원율과 부동산 가격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자본환원율이 상승하면 부동산 자산의 가격이 하락 압력을 받고 이에 따라 신규 개발사업 추진이 어려워집니다.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35.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 (0) | 2021.10.12 |
---|---|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34. 비율임대차(계산문제) (0) | 2021.10.12 |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32. 순영업소득의 현재가치(계산문제) (0) | 2021.10.12 |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31. 위탁관리 부동산 투자회사(REITs) (0) | 2021.10.12 |
[2019기출]부동산학개론 30.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유동화 (0) | 202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