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소득세법상 거주자의 양도소득세 신고 및 납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토지 또는 건물을 양도한 경우에는 그 양도일이 속하는 분기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 양도소득과세표준을 신고해야 한다.
② 양도차익이 없거나 양도차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양도소득과세표준 예정신고 의무가 없다.
③ 건물을 신축하고 그 신축한 건물의 취득일부터 5년 이내에 해당 건물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없어 환산가액을 그 취득가액으로 하는 경우에는 양도소득세 산출세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을 양도소득 결정세액에 더한다.
④ 양도소득과세표준 예정신고 시에는 납부할 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더라도 그 납부할 세액의 일부를 분할납부할 수 없다.
⑤ 당해 연도에 누진세율의 적용대상 자산에 대한 예정신고를 2회 이상 한 자가 법령에 따라 이미 신고한 양도소득금액과 합산하여 신고하지 아니한 경우 양도소득세 확정신고를 해야 한다.
정답. ⑤
해설.
① 토지 또는 건물을 양도한 경우에는 그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 양도소득과세표준을 신고해야 한다.
② 양도차익이 없거나 양도차손이 발생한 경우에도 양도소득과세표준 예정신고 의무가 있다.
③ 건물을 신축하고 그 신축한 건물의 취득일부터 5년 이내에 해당 건물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없어 환산가액을 그 취득가액으로 하는 경우에는 해당 건물 환산가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을 양도소득 결정세액에 더한다.
④ 양도소득과세표준 예정신고 시에는 납부할 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면 그 납부할 세액의 일부를 분할납부할 수 있다.
'개별 기출문제 > 공시법 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회(2018년)기출]공시세법 37. 소득세 (0) | 2023.01.05 |
---|---|
[29회(2018년)기출]공시세법 36. 미등기 양도자산 (0) | 2023.01.05 |
[29회(2018년)기출]공시세법 34. 양도소득 과세표준 (0) | 2023.01.05 |
[29회(2018년)기출]공시세법 33. 신탁재산의 취득세 (0) | 2023.01.05 |
[29회(2018년)기출]공시세법 32. 과점주주의 간추취득세 (0)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