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2. 전세권 등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① 전세권 설정등기를 하는 경우, 등기관은 전세금을 기록해야 한다.
② 전세권의 사용, 수익 권능을 배제하고 채권담보만을 위해 전세권을 설정한 경우, 그 전세권설정등기는 무효이다.
③ 집합건물에 있어서 특정 전유부분의 대지권에 대하여는 전세권설정등기를 할 수가 없다.
④ 전세권의 목적인 범위가 건물의 일부로서 특정 층 전부인 경우에는 전세권설정등기 신청서에 그 층의 도면을 첨부해야 한다.
⑤ 乙 명의의 전세권등기와 그 전세권에 대한 丙 명의의 가압류가 순차로 마쳐진 甲 소유 부동산에 대하여 乙 명의의 전세권등기를 말소하라는 판결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판결에 의하여 전세권말소등기를 신청할 때에는 丙의 승낙서 또는 丙에게 대항할 수 있는 재판의 등본을 첨부해야 한다.
정답. ④
해설.
전세권의 목적인 범위가 건물의 일부로서 특정 층 전부인 경우에는 전세권설정등기 신청서에 그 층의 도면을 첨부할 필요가 없다. (원래는 첨부해야 하지만 목적인 범위가 건물의 일부로서 특정층 전부일 때에는 첨부안함)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공시법 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회(2022년)기출]공시세법 24. 신탁등기 (0) | 2022.11.15 |
---|---|
[33회(2022년)기출]공시세법 23. 가등기 (0) | 2022.11.15 |
[33회(2022년)기출]공시세법 21. 가등기 (0) | 2022.11.15 |
[33회(2022년)기출]공시세법 20. 환매특약등기 (0) | 2022.11.15 |
[33회(2022년)기출]공시세법 19. 부기등기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