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라우팅 알고리즘>
1.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알고리즘
인접 라우터와 정보를 공유해 목적지까지 거리와 방향을 결정
거리와 방향만을 위주로 만들어짐
모든 이웃 라우터에게 자신이 가진 모든 정보를 주기적으로 알려줌
RIP, IGRP
2. 링크 상태(Link State) 알고리즘
링크상태 정보를 모든 라우터에 전달해 최단 경로 트리 구성
라우팅 테이블 구성 위해 딕스트라 알고리즘 사용
OSPF
3. 경로벡터(Path Vector) 알고리즘
소스부터 모든 목적지까지 경로는 스패닝 트리로 결정
BGP
<라우팅 프로토콜>
최종 목적지까지 패킷을 최소 비용, 최소 홉수로 알고리즘을 통해 적절한 경로를 설정해주는 프로토콜
1.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최초의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 벡터 알고리즘 활용
30초 주기로 전체 라우팅 정보 갱신
변화 업데이트 시 많은 시간 소요
라우팅 루프 발생 가능
AS(Autonomous System) 내에서 사용하는 거리벡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개발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전송 시기 - 일정주기(30초)
최대 지원 네트워크 크기 - 15개
2.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RIP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신을 기준으로 하여 링크상태 알고리즘 기반으로 최단 경로를 찾는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전송 시기 - 변화 발생시에만
최대 지원 네트워크 크기 - 255개
728x90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결함 (0) | 2022.03.24 |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웹(Web)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UML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요구 사항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사용자 인터페이스(UI)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