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서비스(Web Service)>
네트워크에 분산된 정보를 서비스 형태로 개방해 표준화된 방식으로 공유하는 기술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를 실현하는 대표 기술
웹(네트워크 환경)에 연결된 서로 다른 컴퓨터를 동적으로 연결해 소통, 실행 가능하게 하는 동적 환경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묶음
1. 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 Integration)
웹 서비스 정보(WSDL) 등록 & 검색 위한 저장소
공개적으로 접근 & 검색이 가능한 레지스트리
기업, 단체, 개인이 자신의 서비스 내용을 인터넷 상에 등록할 수 있게하는 XLML 기반 등록처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WSDL을 등록하고 검색하기 위한 저장소로 공개적으로 접근, 검색이 가능한 레지스트리이자 표준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WSDL을 등록하고 검색하기 위한 저장소로 공개적으로 접근, 검색이 가능한 레지스트리이자 표준이다.
2. WSDL (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
웹 서비스명 / 제공 위치 / 메시지 포맷 / 프로토콜 정보
웹 서비스의 상세 정보가 기술된 XML 형식의 언어
어떤 등록처, 저장소에 자료를 저장하려면 자료가 어디에 어떤 형식으로 저장되는지 알아야 사용이 가능한데 이런 특정 서비스의 설명과 접근 방법과 같은 전자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XML언어 기반으로 제공하는 기술
웹 서비스명, 제공 위치, 메시지 포맷, 프로토콜 정보 등 웹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XML 형식으로 기술한 언어 또는 파일이다.
웹 서비스명, 제공 위치, 메시지 포맷, 프로토콜 정보 등 웹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XML형태로 구현한 기술
3.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HTTP / HTTPS / SMTP 사용 à XML 기반 메시지 à 네트워크 상태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
웹 상에 연결된 컴퓨터의 객체를 액세스하기 위한 MS사의 프로토콜
HTTP로 XML 구문 사용하여 COM / DCOM / 자바 수행
HTTP, HTTPS, SMTP를 통해서 XML 기반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로 웹 서비스 방식에서 HTTP 기반의 SOAP를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SOA 대신 레스트 풀(RESTful) 프로토콜로 대체할 수 있다.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의 원칙
1. 인식의 용이성
대체 텍스트(Text Alternatives), 실시간 미디어 대체 수단, 융통성, 식별성의 세부 지침이 있다.
2. 운용의 용이성
키보드 접근성, 충분한 시간 제공 및 시간 조절기능, 발작 예방, 탐색 가능성의 세부 지침이 있다.
3. 이해성
가독성, 예측 가능성, 입력 지원의 세부 지침이 있다.
4. 견고성
호환성의 세부 지침이 있다
보조기술을 포함한 현재 및 미래의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원칙
<웹 오류 메시지>
1. 404(Not Found)
웹에서 서버를 찾지 못할 때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
2. 403(Forbidden)
서버가 요청을 거부할 경우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
3. 500(Internal Server Error)
내부 서버 에러 또는 설정이나 퍼미션 문제로 발생하는 에러메시지
4. 502(Bad Gateway)
게이트웨이가 연결된 서버로부터 잘못된 응답을 받는 경우의 오류 메시지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현행 시스템 파악 (0) | 2022.03.24 |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결함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라우팅 알고리즘과 프로토콜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UML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요구 사항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