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
1. 기능적 요구사항
원하는 기능 자체를 서술 (로그인, 회원조회)
ex. 부서별 담당자가 홈페이지 게시물 작성을 위한 관리자 페이지 제공
ex. 콘텐츠관리자가 예약정보를 입력하고 예약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통계, 관리메뉴 제공
ex. 게시물에서 예약 접수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 삽입 기능 제공
ex. 회원이 마이페이지에서 예약진행 사항, 이용내역 확인 가능
2. 비기능적 요구사항
기능에 대한 품질, 제약사항 서술
최대100명, 1시간 이내
ex. 특정 함수 호출시간이 5초 넘지 않도록 한다.
ex. 시스템 자원(CPU, 메모리)의 평균사용률이 최대 7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1. 요구사항 도출(Elicitation)
요구사항 수집 단계로 이해 관계자 간 의사소통이 중요(인터뷰, 브레인스토밍)
2. 요구사항 분석(Analysis)
도출된 요구사항의 타당성 조사 & 내용 정리
(1) 요구사항 분류
특정 기준으로 분류(기능 / 비기능 우선순위)
(2) 개념 모델링
분류된 요구사항을 단순화하여 개념적으로 표현 / 객체 관계와 종속성 분석 / 다양한 관점으로 표현 / UML 사용
(3) 요구사항 할당
요구사항 만족 위한 요소 할당
(4) 요구사항 협상
충돌되는 요구사항 해결
(5) 정형 분석
구문과 의미를 갖는 언어, 수학적 기호 이용
3. 요구사항 명세(Specification)
승인 위해 문서화 진행
빠짐없이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기록
4. 요구사항 확인(Validation)
명세서 검증, 형상관리 수행
(1) 요구사항 검토
문서화된 요구사항을 훑어보며 확인
(2) 프로토타이핑
초기 도출된 요구사항 토대로 프로토타입 제작해 대상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는 동안 도출되는 요구사항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프로토타입 재작성
새로운 요구사항 도출을 위한 수단으로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에 대해 엔지니어가 해석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
요구사항이 잘못된 경우 유용한 피드백 제공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적인 행위가 문서, 그래픽 모델보다 이해 용이
사용자가 요구한 주요 기능을 간단하게 구현하여 사용자 피드백으로 개선, 보완해 소프트웨어를 만들어가는 기법
(3) 모델 검증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개발된 모델의 요구사항 충족 여부 검증
(4) 인수 테스트
사용자가 실제 사용할 환경에서 요구사항이 모두 충족되는지 확인
<연계 요구사항 분석기법>
1. 체크리스트
시스템 운영 환경,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주기 등의 기준에 대한 점검을 통한 분석기법이다.
2. 브레인스토밍
소속된 인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제시된 아이디어 목록을 통해분석하는 기법이다.
<요구사항 분석 기법 중 개념 모델링>
개념 모델은 문제 도메인의 엔티티(Entity)들과 개별 관계 및 종속성을 반영한다.
시나리오로 나타내기 위해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을 주로 사용한다.
대부분의 모델링 표기법은 UML을 사용한다.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도출(Elicitation) → 분석(Analysis) → 명세(Specification)→확인(Validation)’의 세부 활동>
1. 도출
요구사항 소스 추출
요구사항 도출 기법 활용
2. 분석
요구사항 분류
요구사항 협상
개념 모델링
기술 구조 설계 및 요구사항 할당
3. 명세
시스템 정의서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시스템 요구사항 명세서
4. 확인
검토
인수테스트
프로토타이핑
모델검증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웹(Web) (0) | 2022.03.24 |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라우팅 알고리즘과 프로토콜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UML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사용자 인터페이스(UI) (0) | 2022.03.24 |
[정보처리기사 이론 정리]테스트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