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 甲은 자기소유의 신축건물(공부상 용도는 음식점)을 乙에게 보증금 5천만원, 월세 300만원에 임대하고, “乙은 甲의 승인하에 건물의 개축 등을 할 수 있으나 임대기간 종료시에는 원상회복하여 명도하며, 부속물매수청구는 하지 않는다”고 특약하였다. 乙은 甲의 동의를 얻어 주방시설(건물의 구성부분이 아니라 독립성이 인정됨) 설치비용을 지출하여 음식점을 개업하였으나 영업이 부진하자 임대차기간만료와 동시에 음식점을 폐쇄하고 사용․수익하지 않고 있다. 다음 중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① 乙은 보증금반환청구권을 가지므로 甲의 건물명도청구에 대하여 유치권을 주장할 수 있다.
② 乙이 주방시설의 매수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甲에게 계약의 갱신을 요구하여야 한다.
③ 乙은 甲에게 임대차기간 만료 이후의 임료상당의 부당이득을 반환하여야 한다.
④ 乙이 부속물매수청구를 하면 원칙적으로 부속물매수대금지급의무와 부속물인도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있다.
⑤ 부속물매수청구권은 임대차 종료시에 인정되므로, 甲과 乙사이의 임대차계약이 乙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해지되더라도 인정된다.
정답. ④
해설.
① 乙은 보증금반환청구권을 있지만 甲의 건물명도청구에 대하여 유치권을 주장할 수 없다.
② 乙이 주방시설의 매수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甲에게 계약의 갱신을 요구하지 않아도 된다.
③ 乙은 甲에게 임대차기간 만료 이후의 임료상당의 부당이득을 반환하지 않아도 된다.
⑤ 부속물매수청구권은 임대차 종료시에 인정되지만, 甲과 乙사이의 임대차계약이 乙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해지되면 인정되지 않는다.
'개별 기출문제 >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회(2006년)기출]민법 60. 법률사실과 법률요건 (0) | 2021.12.09 |
---|---|
[17회(2006년)기출]민법 59. 전세권 (0) | 2021.12.09 |
[17회(2006년)기출]민법 57. 유치권 (0) | 2021.12.09 |
[17회(2006년)기출]민법 56. 지상권 (0) | 2021.12.09 |
[17회(2006년)기출]민법 55. 계약교섭 (0) | 2021.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