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별 기출문제/민법

[32회(2021년)기출]민법 75. 주택임대차보호법

by 기출문제 전문가 2021. 11. 19.
728x90
반응형


75.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일시사용을 위한 임대차가 아니고 임차권등기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를 전제하며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① 임차인이 타인의 점유를 매개로 임차주택을 간접점유하는 경우에도 대항요건인 점유가 인정될 수 있다.

② 임차인이 지위를 강화하고자 별도로 전세권 설정등기를 마친 후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요건을 상실한 경우,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을 상실한다.

③ 주민등록을 마치고 거주하던 자기 명의의 주택을 매도한 자가 매도와 동시에 이를 다시 임차하기로 약정한 경우, 매수인 명의의 소유권 이전등기 여부와 관계없이 대항력이 인정된다.

④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다음 날 오전 영시부터 대항력이 생긴다.

⑤ 임차인이 가족과 함께 임차주택의 점유를 계속하면서 가족의 주민등록은 그대로 둔 채 임차인의 주민등록만 일시적으로 옮긴 경우 대항력을 상실하지 않는다.


정답. ③


해설.

 

주민등록을 마치고 거주하던 자기 명의의 주택을 매도한 자가 매도와 동시에 이를 다시 임차하기로 약정한 경우, 매수인 명의의 소유권 이전등기가 된 다음날부터 대항력이 인정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