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별 기출문제/부동산학개론

[2021년(32회)기출]부동산학개론 10.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이론

by 기출문제 전문가 2021. 11. 1.
728x90
반응형


문제.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에 따르면 중심 업무지구와 저소득층 주거지대 사이에 점이지대가 위치한다.

② 호이트의 선형 이론에 따르면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분화는 주요 교통축을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난다.

③ 해리스와 울만은 다핵심 이론에서 교통축을 적용하여 개선한 이론이 호이트의 선형 이론이다.

④ 헤이그의 마찰 비용 이론에 따르면 마찰 비용은 교통비와 지대로 구성된다.

⑤ 알론소의 입찰 지대 곡선은 도심에서 외각으로 나감에 따라 가장 높은 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각 산업의 지대 곡선들을 연결한 것이다.


정답. ③ 


해설.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해리스와 울만은 다핵심 이론]에서 교통축을 적용하여 개선한 이론이 호이트의 선형 이론이다.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과 호이트의 선형 이론을 결합하여 발전시킨 이론이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심 이론입니다.


이론.

 

 

[이론]도시공간구조이론

1.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 (1) 동심원 이론의 의의 및 주요 내용 동심원 이론은 1920년대 미국의 시카고 시를 대상으로 한 도시공간구조 이론으로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다. 동심원 이

hypers84.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