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우리나라 부동산 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토지이용에 있어서 용도지역, 지구는 사회적 후생 손실을 완화하기 위해 지정된다.
② 주택시장에서 단기적으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여 시장실패가 발생할 경우, 이는 정부의 주택시장에 대한 개입의 근거가 된다.
③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구역은 토지의 투기적인 거래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될 수 있다.
④ 분양가 상한제는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⑤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게 되면 시장 효율성과 형평성이 달성되므로 정부가 주택시장에 개입하지 않는다.
정답. ⑤
해설.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게 되어도 [되면] 시장 효율성과 형평성이 달성되지 않으므로 [되므로] 정부가 주택시장에 개입한다. [하지 않는다.]
이론.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24회)기출]부동산학개론 17. 마샬의 준지대론 (0) | 2021.10.26 |
---|---|
[2013년(24회)기출]부동산학개론 16. 부동산 정책 (0) | 2021.10.26 |
[2013년(24회)기출]부동산학개론 14. 베버의 공업입지론 (0) | 2021.10.26 |
[2013년(24회)기출]부동산학개론 13.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계산문제) (0) | 2021.10.26 |
[2013년(24회)기출]부동산학개론 12. 지대론 (0)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