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4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도시ㆍ군관리계획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에 관한 도시ㆍ군관리계획 결정 당시 승인받은 사업이나 공사에 이미 착수한 자는 신고없이 그 사업이나 공사를 계속할 수 있다.
② 국가계획과 연계하여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이 필요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이 직접 그 지정을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다.
③ 도시ㆍ군관리계획의 입안을 제안받은 자는 도시ㆍ군관리계획의 입안 및 결정에 필요한 비용을 제안자에게 부담시킬 수 없다.
④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정에 관한 도시ㆍ군관리계획은 국토교통부장관이 결정한다.
⑤ 도시ㆍ군관리계획 결정은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의 다음 날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정답. ②
해설.
①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에 관한 도시ㆍ군관리계획 결정 당시 승인받은 사업이나 공사에 이미 착수한 자는 3개월 이내에 신고를 하고 그 사업이나 공사를 계속할 수 있다.
③ 도시ㆍ군관리계획의 입안을 제안받은 자는 도시ㆍ군관리계획의 입안 및 결정에 필요한 비용을 제안자에게 부담시킬 수 있다.
④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정에 관한 도시ㆍ군관리계획은 해양수산부장관이 결정한다.
⑤ 도시ㆍ군관리계획 결정은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부동산공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회(2017년)기출]공법 44. 국토 계획 법 - 용도지역, 지구, 구역 (0) | 2022.10.12 |
---|---|
[28회(2017년)기출]공법 43. 국토 계획 법 - 용도지역 (0) | 2022.10.12 |
[28회(2017년)기출]공법 41. 국토 계획 법 - 광역도시계획 (0) | 2022.10.12 |
[29회(2018년)기출]공법 80. 건축법 - 농지 전용 (0) | 2022.10.12 |
[29회(2018년)기출]공법 79. 건축법 - 위탁경영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