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5. 개업공인중개사가 분묘가 있는 토지에 관하여 중개의뢰인에게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① 분묘기지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그 내부에 시신이 안장되어 있고, 봉분 등 외부에서 분묘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형태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② 분묘기지권이 인정되는 분묘가 멸실되었더라도 유골이 존재하여 분묘의 원상회복이 가능하고 일시적인 멸실에 불과하다면 분묘기지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③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에 따라 그 시행일 이전의 분묘기지권은 존립 근거를 상실하고, 그 이후에 설치된 분묘에는 분묘기지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④ 분묘기지권은 분묘의 기지 자체뿐만 아니라 분묘의 설치 목적인 분묘의 수호와 제사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분묘 기지 주위의 공지를 포함한 지역까지 미친다.
⑤ 분묘기지권은 권리자가 의무자에 대하여 그 권리를 포기하는 의사표시를 하는 외에 점유까지도 포기해야만 그 권리가 소멸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 ③
해설.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에 따라 그 시행일 이전의 분묘기지권은 존립 근거를 상실하지 않고, 그 이후에 설치된 분묘에는 분묘기지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중개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회(2018년)기출]중개사법 17. 표시, 광고 (0) | 2021.12.17 |
---|---|
[29회(2018년)기출]중개사법 16 사무소 이전 (0) | 2021.12.17 |
[29회(2018년)기출]중개사법 14. 자격취소 (0) | 2021.12.17 |
[29회(2018년)기출]중개사법 13. 공인중개사협회 (0) | 2021.12.17 |
[29회(2018년)기출]중개사법 12. 인장 등록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