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5. 공인중개사법령상 손해배상책임의 보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개업공인중개사는 중개가 완성된 때에는 거래당사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의 보장기간을 설명해야 한다.
② 개업공인중개사는 고의로 거래당사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에는 재산상의 손해뿐만 아니라 비재산적 손해에 대해서도 공인중개사법령상 손해배상책임보장규정에 의해 배상할 책임이 있다.
③ 개업공인중개사가 자기의 중개사무소를 다른 사람의 중개행위의 장소로 제공하여 거래당사자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하게 한 때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④ 법인인 개업공인중개사가 분사무소를 두는 경우 분사무소마다 추가로 1억원 이상의 손해배상책임의 보증설정을 해야 하나 보장금액의 상한은 없다.
⑤ 지역농업협동조합이 「농업협동조합법」에 의해 부동산중개업을 하는 경우 보증기관에 설정하는 손해배상책임보증의 최저보장금액은 개업공인중개사의 최저보장금액과 다르다.
정답. ②
해설.
개업공인중개사는 고의로 거래당사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에는 재산상의 손해만 공인중개사법령상 손해배상책임보장규정에 의해 배상할 책임이 있고 비재산적 손해에 대해서는 책임이 없다.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중개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17. 휴업 및 재개신고 (0) | 2021.12.14 |
---|---|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16. 사무소 이전 (0) | 2021.12.14 |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14. 거래정보사업자 (0) | 2021.12.14 |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13. 공인전자문서센터 (0) | 2021.12.14 |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12. 매수신청대리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