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4. 분묘가 있는 토지에 관하여 개업공인중개사가 중개의뢰인에게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① 분묘기지권은 등기사항증명서를 통해 확인할 수 없다.
② 분묘기지권은 분묘의 설치 목적인 분묘의 수호와 제사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분묘 기지 주위의 공지를 포함한 지역에까지 미친다.
③ 분묘기지권이 인정되는 경우 분묘가 멸실되었더라도 유골이 존재하여 분묘의 원상회복이 가능하고 일시적인멸실에 불과하다면 분묘기지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④ 분묘기지권에는 그 효력이 미치는 범위 안에서 새로운 분묘를 설치할 권능은 포함되지 않는다.
⑤ 甲이 자기 소유 토지에 분묘를 설치한 후 그 토지를 乙에게 양도하면서 분묘를 이장하겠다는 특약을 하지 않음으로써 甲이 분묘기지권을 취득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甲은 분묘의 기지에 대한 토지사용의 대가로서 지료를 지급할 의무가 없다.
정답. ⑤
해설.
甲이 자기 소유 토지에 분묘를 설치한 후 그 토지를 乙에게 양도하면서 분묘를 이장하겠다는 특약을 하지 않음으로써 甲이 분묘기지권을 취득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甲은 분묘의 기지에 대한 토지사용의 대가로서 지료를 지급할 의무가 있다.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중개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6. 집합건물의 매매 (0) | 2021.12.14 |
---|---|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5. 표시, 광고 및 모니터링 (0) | 2021.12.14 |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3. 명의신탁약정 (0) | 2021.12.14 |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2. 정책심의위원회 (0) | 2021.12.14 |
[32회(2021년)기출]중개사법 1. 중개대상물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