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다음은 거미집 이론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모형 형태는?
○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이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보다 크면 ( ㄱ )이다. ○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이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보다 크면 ( ㄴ )이다. |
① ㄱ: 수렴형, ㄴ: 수렴형
② ㄱ: 수렴형, ㄴ: 발산형
③ ㄱ: 발산형, ㄴ: 수렴형
④ ㄱ: 발산형, ㄴ: 발산형
⑤ ㄱ: 발산형, ㄴ: 순환형
정답. ②
해설.
○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이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보다 크면 수렴형입니다.
○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이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보다 크면 발산형입니다.
거미집 이론의 내용은 많은데 시험에서 문제로 나오는 것은 가격탄력성과 기울기에 의해 어떠한 모형 형태가 되는지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복잡한 내용보다는 딱 두 가지만 기억하시면 문제 푸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그것은 바로 수탄수와 공기수입니다.!!^^
1. 수탄수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이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보다 크면 수렴형(반대로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이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보다 크면 발산형)입니다.
2. 공기수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이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보다 크면 수렴형(반대로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이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보다 크면 발산형)입니다.
수렴형만 외우면 반대는 발산형이 되고, 수요과 공급의 가격탄력성, 기울기의 절댓값이 같으면 순환형이 됩니다.
이론.
728x90
반응형
'개별 기출문제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13. 정부의 부동산 시장 직접 개입 (0) | 2021.09.30 |
---|---|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12. 부동산 경기순환과 경기변동 (0) | 2021.09.30 |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10. 분양수입을 극대화하는 분양 가격(계산문제) (0) | 2021.09.30 |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09. 유량의 경제 변수 (0) | 2021.09.30 |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08. 균형가격과 공급곡선의 기울기(계산문제)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