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공업입지2 [2013년(24회)기출]부동산학개론 14. 베버의 공업입지론 문제. 베버의 공업 입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생산자는 합리적 경제인이라고 가정한다. ② 최소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을 기업의 최적입지점으로 본다. ③ 기업의 입지 요인으로 수송비, 인건비, 집적이익을 제시하였다. ④ 기업은 수송비, 인건비, 집적이익의 순으로 각 요인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 입지 한다. ⑤ 등비용선은 최소 수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 이에 따른 추가적인 수송비의 부담액이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곡선을 의미한다. 정답. ④ 해설. 기업은 수송비, 인건비는 최소가 되고, 집적이익은 최대가 되는 지점에 입지 한다. 이론. [이론]공업 입지 1. 공업지의 입지조건 (1) 공업지의 입지조건 공업지의 유용성은 생산성에 있다. 이러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업.. 2021. 10. 26. [2020기출]부동산학개론 17. 입지와 도시공간구조 문제. 다음 입지와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컨버스는 소비자들의 특정 상점의 구매를 설명할 때 실측 거리, 시간거리, 매장 규모와 같은 공간 요인뿐만 아니라 효용이라는 비공간요인도 고려하였다. ㄴ. 호이트는 저소득층의 주거지가 형성되는 요인으로 도심과 부도심 사이의 도로, 고지대의 구릉지, 주요 간선도로의 근접성을 제시하였다. ㄷ. 넬슨은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떤 장소에 입지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ㄹ. 알론소는 단일 도심 도시의 토지이용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입찰 지대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ㄴ, ㄷ, ㄹ 정답. ④ 해설. ㄱ. 에서 소비자들의 특정 상점의 구매를 설명할.. 2021. 10. 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