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개업공인중개사가 분묘가 있는 토지를 매수하려는 의뢰인에게 분묘기지권에 관해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① 분묘기지권의 존속기간은 지상권의 존속기간에 대한 규정이 유추적용되어 30년으로 인정된다.
②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기 전에 설치된 분묘의 경우 그 법의 시행 후에는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이 인정되지 않는다.
③ 자기 소유 토지에 분묘를 설치한 사람이 분묘이장의 특약 없이 토지를 양도함으로써 분묘기지권을 취득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분묘기지권이 성립한 때로부터 지료지급의무가 있다.
④ 분묘기지권을 시효로 취득한 사람은 토지소유자의 지료지급청구가 있어도 지료지급의무가 없다.
⑤ 분묘가 멸실된 경우 유골이 존재하여 분묘의 원상회복이 가능한 일시적인 멸실에 불과하여도 분묘기지권은 소멸한다.
정답. ③
해설.
① 분묘기지권의 존속기간은 지상권의 존속기간에 대한 규정에 따를 것이 아니라 당사자 사이에 약정이 있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그에 따를 것이며, 그러한 사정이 없는 경우에는 권리자가 분묘의 수호와 봉사를 계속하며 그 분묘가 존속하고 있는 동안은 분묘기지권이 존속한다
②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기 전에 설치된 분묘의 경우 그 법의 시행 후에도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이 인정된다.
④ 분묘기지권을 시효로 취득한 사람은 토지소유자의 지료지급청구가 있으면 지료지급의무가 있다.
⑤ 분묘가 멸실된 경우 유골이 존재하여 분묘의 원상회복이 가능한 일시적인 멸실에 불과하면 분묘기지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개별 기출문제 > 중개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회(2022년)기출]중개사법 39. 부동산거래계약신고서 (0) | 2022.11.08 |
---|---|
[33회(2022년)기출]중개사법 38. 중개보수 (0) | 2022.11.08 |
[33회(2022년)기출]중개사법 37. 일반중개계약 (0) | 2022.11.08 |
[33회(2022년)기출]중개사법 36. 집합건물 (0) | 2022.11.08 |
[33회(2022년)기출]중개사법 35. 매수신청대리인 (0) | 2022.11.08 |